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체코인의 정체성과 커뮤니케이션 방식

‘Czechs' Identity and the Ways of Communication

  • 168
105313.jpg

체코(그리고 슬로바키아)는 우리에게 낯선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최근 개방과 개혁 그리고 유럽연합 가입으로 우리에게 중요한 교역 파트너로 등장하고 있는 동시에 학문적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기반은 이들의 정체성을 파악하고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이해하는데 있다. 정체성과 커뮤니케이션 방식이란 총체적인 문화를 의미하며 이를 통해 체코인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체코인들의 정체성과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몇가지 상징적인 은유적 현상을 통해 설명한다. 우선 이들의 정체성 혼란을 지정학적 그리고 역사적, 민족 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슬라브인으로서의 성격과 비슬라브인으로서의 성격을 비교 설명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호프슈테더와 홀 그리고 개논 등의 논의를 기반으로 각각의 특징적인 측면을 살펴보고 체코인들의 주요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몇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했다. 체코인들은 첫째, 평등주의적 사고방식과 불평등을 용인하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둘째, 개인주의적 행동양식과 사고방식을 지니고 있고, 셋째, 높은 수준의 불확실성을 보인다. 그리고 체코인들은 넷째, 중성적 문화적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커뮤니케이션에서 맥락의 의미를 고려하고 있다. 이 외에도 체코인들은 그들만의 독특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지니고 있다. 이처럼 체코인들은 인접한 폴란드나 헝가리 등의 탈공산주의 국가들과는 상이한 문화적 특징과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체코인들에 대한 연구나 혹은 실질적인 커뮤니케이션에서 이들을 다른 탈공산주의 국가들과 동일선상에서 파악하는 것은 잘못된 방법이다. 이들에 대한 접 근은 이들만의 독특한 특징과 정체성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방식, 즉 문화에 대한 철저한 인식이 우선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Czechs‘ identities and the ways of communication to understand their unique cultural dimensions. Although Czech and Slovakia are the states unfamiliar to us, both have been important trade partners with us. Still both will be the member states of European Union since May, 2004. For these reasons, many Koreans more and more are interested with these states economically and culturally. The best methods to communicate with people who have different cultures is to know what is different in the way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m. In the strict sense, the ways of communication indicate specific essential cultural parts.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know and accept other's ways of communication for mutual understandings. As G. Hofstede, E. Hall and M. Gannon have identified cultures with some value dimensions, I try to categorize the specific features of the ways of communication among Czechs into several parts. Hofstede has identified four value dimensions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r in all cultures. These dimensions are individualism-collectivism, uncertainty avoidance, power distance, and masculinity-femininity. From these point of views, Czechs have individualistic cultures, high-uncertainty avoidance, short-power distance, neutralistic cultural features and high-context circumstance. This means that Czechs have different methods to communicate each other, differs from those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ex-communist Poland and Hungary. Finally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understanding cultural features and the ways of communication in a given culture is the most importnat factor for mutual undersanding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it is the basis for the further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cultures.

국문 개요

1. 머리말

2. 커뮤니케이션의 의미와 중요성

3. 체코인들의 특성과 커뮤니케이션 방식

4. 맺음말

참 고 문 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