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마니아어의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연구
A Diachronic Study of the Romanian Consonant System
- 한국중동부유럽학회
- 동유럽발칸학
- 동유럽발칸학 제8권 제1호
-
2006.0655 - 78 (24 pages)
- 143

루마니아어는 언어계보학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인도․유럽어족의 한 가지인 이탤릭어군 중에서도 라틴어로부터 유래된 로망스어의 일종으로서 언어학적인 특성을 고려하자면 그 중에서도 이탈리아어와 함께 동 로망스어권에 속해 있는 언어이다. 한편 루마니아어는 사용되고 있는 지리적인 면을 고려하자면 소위 발칸 로망스어의 한 부류로 볼 수 있다. 루마니아어의 자음체계는 기본적으로 라틴어의 자음체계를 계승하고 있지만 지역적인 특성 상 여타 로망스어들과는 다소 상이한 면을 보이고 있다. 한 예로서 이미 고전 라틴어 시대부터 사용이 위축되기 시작하여 민중들의 언어였던 속 라틴어에 서는 완전히 사라졌으므로 현대 로망스어들에선 그 모습이 사라졌거나 문자로는 표기되더라도 묵음이 되어서 음가의 기능을 잃어버린 고전 라틴어의 성문 마찰음 h/ɦ/ 이 오늘날 루마니아어에만 유독존재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루마니아어에서 이 성문 마찰음이 대부분 슬라브어를 비롯한 발칸지역 주변의 외래어들로부터 차용된 어휘들(예: duh, hrană 등)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이 음이 발칸 라틴어에서도 사라졌다가 고대 루마니아인들이 슬라브 민족을 비롯하여 주변의 타 민족들의 언어로부터 차용한 것이라는 의견이 중론이다. 또한 라틴어에서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여타 로망스어들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우며 유독 루마니아어에서만 나타나고 있는 자음들 ş/ʃ/ 및 ţ/ʦ/ 는 각기 라틴어의 치찰음 s 와 치․파열음 t 가 전설 모음 앞에서 구개음화 된 것이다(예: 라틴어 sīc> 루어 şi; 라틴어 tĕnere > 루어 ţine 등). 그밖에도 라틴어에선 존재하지 않았던 치경 파찰음/ʧ/ 와 /ʤ/ 또한 각기 라틴어의 유․무성 연구개 파열음들(g/ɡ/, c/k/)이 전설 모음들 앞에서 구개음화 된것들로서 루마니아어와 함께 속해 있는 소위 동 로망스어권의 이탈 리아어와 공유하고 있는 특성 중의 하나로 간주된다(예: 라틴어 gĕlu/gelu/ > 루어 ger/ʤer/, 이어 gelo/ʤelo/; 라틴어 caelum/kælum/ > 루어 cer/ʧer/, 이어 cielo/ʧielo/ 등).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루마니아어의 자음체계는 라틴어에 근간을 두고 있으나 지역적인 여건상 기층어 및 상층어적인 요인 등으로 인하여 상당한 변화를 겪게 되면서 소위 발칸 로망스어로서의 면모를 지니게 되었다.
This article aims at a diachronic study on the consonant system of the Romanian language, one of the Romance languages, which are developed by a gradual transformation from the spoken Vugar Latin. As we can see from this research on the evolutuion of the Romanian consonant system, Romanian more or less maintains the basic consonant system of Latin, except for som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Balkan Latin, which had a different evolution from the normal Westernstream. As far as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Latin concerned, it had a rather small number of consonants in comparison with the vowel system. Besides the glottal fricative h/ɦ/, which was originally aspirate in Clasic Latin began to disappear in the intervocalic position (ex.: ne homo > nehemo > nemo) and then lost completely in the initial position in Vulgar Latin(ex.: habeo > abeo). The finals -m, -s, -t of Classical Latin were eliminated in Vulgar Latin(ex.: murum > muro; formosus > formoso; cantat > canta et.). As far as the Romanian consonant system is concerned, the symbol k is a comparative rarity, which is not a regular letter in Romanian as in Latin. It is used only for international terms such as kilogram, kilometru etc. The voiceless velar plosive is represented by c(ex.: casă/kasǝ/). However this phoneme is changed to the alveolar affricate /ʧ/ before the front vowels(ex.: cer/ʧer/). The voiceless velar plosive is represented by the diagraph ch before the front vowels(ex.: ochi/oki/). The voiced velar plosive g/ɡ/ shows similar distributions as the voiceless. Among the consonant symbols, ş/ʃ/ and ţ/ʦ/ exist only in Romanian, which are in general derived from the Latin s and t before the front vowels(ex.: Lat. sīc > Rom. şi; Lat. tĕnere > Rom. ţine etc.). As already stated above, the glottal fricative h/ɦ/ of Classical Latin was lost completely in the initial position in Vulgar Latin. Therefore, the symbol h either disappeared in the Romance languages or is used alphabetically for the loan words but has no more sound, that is mute. Among the Romance languages, Romanian is only the language which uses the glottal fricative as phoneme. We can consider that the aspirate of Classical Latin was also lost in Romanian and then reintroduced by the influence of the neighboring languages, especially the Slavonic languages. Notice that this symbol appears generally in Slavonic based words(ex.: duh, hrană etc.). In addition, the Latin consonant cluster -ct/kt/- in the intervocalic position was changed into -pt- in Romanian, that is, the velar plosive /k/ became bilabial /p/(ex.: Lat. coxa/koksa/ > Rom. coapsă/koapsǝ/). Another example for the labialisation is the changing of Latin făctŭm to Romanian fapt. Thus in Romanian is popular the labialisation which is regarded as the influence of the substratum. In conclusion, the Romanian consonant system maintains the basic phonological evolution from Latin to the Romance laguages, except for some characteristics due to the geographical circumstance of Balkan Romance.
국문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라틴어 자음체계의 발달과정
Ⅲ. 루마니아어의 자음체계
Ⅳ. 맺는 말
참 고 문 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