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민족 정체성과 국가발전전략
Ukrainian National Identity and Development Strategy
- 한국중동부유럽학회
- 동유럽발칸학
- 동유럽발칸학 제8권 제2호
-
2006.12287 - 312 (26 pages)
- 485
독립이후 우크라이나는 새로운 국가적 차원의 도전과제로서 자국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발전전략을 수립해야만 하였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정부는 국가발전노선의 수립 및 추진과정에서 러시아로 부터의 상당한 견제와 도전과 더불어, 자국의 특수한 현실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그래서 신생독립국 우크라이나의 지도부는 ‘안보확립’과 ‘경제발 전’이라는 두 가지 핵심적인 국정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치적인 측면의 ‘탈(脫)러시아 경향’과 경제적인 관점의 ‘용(用) 러시아 경향’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국가발전전략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 전자가 우크라이나 역사발전과정에서 배태된 안보문제에 대한 강한 집착과 불안감의 반영이라면, 후자는 우크라이나 경제구조 및 경제상황의 실제적인 결과물이라고 하겠다. 이는 우크라이나 국가가 지정학적으로 동과 서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던 관계로 오랜 기간동과 서를 대표하는 외세의 지배를 경험하였고, 그로 인해 역사적으로 통합적인 민족국가를 형성한 경험이 사실상 부재하였기 때문 이다. 그 결과 우크라이나는 국가적 통일성이 대단히 미약했을 뿐 아니라, 동부지역과 서부지역 간 정치적 성향과 경제적 구조, 사회문화적 전통 등에 있어서 ‘친 러시아 지향성’ 대 ‘친 서방 지향성’이라는 상당히 모순적인 차별성을 내재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우크라이나의 국가발전전략 결정과정에서 독특한 민족 정체성 요인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경제정책과 외교 안보정책의 본원적인 방향과 성격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seeks to explore mutual relation of Ukrainian National Identity and Development Strategy. In the aftermath of the breakup of the Soviet Union, Ukraine was faced with new changes and challenges in post-soviet region. At that time Ukrainian political leaders must prepare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focusing on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But the weakness of independent Ukraine's economic base and regional difference of national identity were the major source of its Development Strategy difficulties. Especially it is important that Ukraine is a state, which strives to develop the sense of civic nationhood transcending ethnic adherence in the heterogeneous population. This is a historical result, because of Ukraine is situated between the East and West. Thus, Ukrainian political leaders emphasized Euro-Atlantic integration as the priority goal for Ukraine, while, at the same time, aiming at maintaining close relations with Russia. This is a basic concept of Ukraine's foreign and security policy that featured constant tactical maneuvering between the West and Russia. In this context, Ukrainian national ident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rmation and promotion of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국문 개요>
Ⅰ. 서론
Ⅱ. 우크라이나 역사발전과정과 민족 정체성
Ⅲ. 우크라이나 경제정책의 방향과 성격
Ⅳ. 우크라이나 외교안보정책의 방향과 성격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