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니아 민족주의의 기원과 민족문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Origin of Nationalism and National Problems -Focused on National Conflicts in Kosovo Title-
- 한국중동부유럽학회
- 동유럽발칸학
- 동유럽발칸학 제7권 제2호
-
2005.12449 - 472 (24 pages)
- 435

알바니아 민족주의의 대표적 형태이며, ‘영토적 민족주의’에 기초한 대(大)알바니아주의는 1878년 코소보 내 쁘리즈렌(Prizren) 마을에서 결성된 ‘쁘리즈렌 연맹’의 이론에 기초하고 있다. 쁘리즈렌 연맹은 19세기 알바니아 독립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한 터키 저항운동에서부터 비롯되었다. 이 연맹은 비록 1881년 오스만 터키군의 강력한 진압에 의해 거의 괴멸되었지만, 그 연맹의 이념과 목표는 현재까지 계속 이어져 내려왔고, 발칸 유럽 내 민족갈등과 분쟁의 주요 요인 중 하나를 형성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1세기 현재 발칸 유럽 내 민족갈등과 충돌의 주요요인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는 알바니아 민족주의의 기원과 그 내용에 대해 알아보고, 그 대표 사례로써 코소보 내 알바니아인과 세르비아 민 족 간에 발생하고 있는 민족문제의 현황과 그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The great Albanianism, which is the prototype of Albanian nationalism is based on ‘Territorial Nationalism.’ It is originated from ‘Prizren league’, which started in the city, Prizren in Kosovo in 1878. ‘Prizren eague’ is an anti-Turkey movement to have Albanian independent national state. While this is almost demolished by Ottoman Turkey's hard suppression in 1881, the ideology and the aim of it have been inherited and become one of main reasons of National Conflicts in Balkan. The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leading national spirit, struggle against foreign power and national solidarity whenever Albanian nations are invaded by foreign countries and they are at risk of national survival. Albanian national problems and various conflicts have continued to exist although the UN Security decided the war's conclusion in Kosovo. In this study the origin and contents of Albanian nationalism is surveyed and as a characteristic example, present situation and aspects of national problems between Albanian and Serbian nations in Kosovo are also studied.
논문 개요
Ⅰ. 서론
Ⅱ. 알바니아 민족의 기원과 이슬람화 과정
Ⅲ. 19세기 민족주의 시대와 알바니아
Ⅳ. 20세기 코소보내 알바니아 민족문제의 현황과 그 양상
Ⅴ. 코소보 전쟁(1999)과 코소보 평화 협정
Ⅵ.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