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비아 구비서사시와 한국민요의 作詩單位 분석
An analysis on the composing a poem of Serbian oral epic poetry and korean folk ballads
- 한국중동부유럽학회
- 동유럽발칸학
- 동유럽발칸학 제4권 제2호
-
2002.12206 - 234 (29 pages)
- 43
구비시가(口碑詩歌)의 내재적(內在的)․외재적(外在的) 작시원리를 모두 함께 살피는 일은 방대한 작업이다. 본고에서는 우선 구비시가의 작시원리를 규명하려는 목적의 일환으로써 페리와 로드가 주목하고 있는 구비서사시의 외재적 작시원리와 작시단위들을 살피고자 한다. 물론 세계의 모든 구비서사시에 존재하는 보편적인 원리로써의 작시원리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많은 국가와 민족의 구비서사시 자료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야 하겠지만, 이 또한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연구과제이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구비서사시에 들어맞는 하나의 보편적 원리를 찾는 일은 단 계적으로 이루어져야만 하고, 그렇게 단계적으로 이루어진 작시원리에 대한 연구의 결과물들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만 보편적 이론의 도출이 가능하다. 구비서사시의 보편적 작시원리를 도출하기 위한 첫 단계 연구로써, 세르비아의 구비서사시 가운데 마르코 끄랄례비치(Марко Краљевић)라는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는 작품들과 한국의 민요 가운데 ‘정선아라리’를 통하여 작품의 구성원리로써 작용하는 유고슬라비아와 한국 구비시가의 의미적․형식적 작시단위를 살피고자 했다.
It is so extensive that make observation of the immanent and external composing principles. In this article, you can read some representative works and have the explanation of the specialities of the composing principles on yugoslav and korean oral poetry. Naturally, for universal principle of composing oral poetry, more nations and ethnic groups have to be intended for the investigation, but it can not be realized in a short time. As a first step to conduct a universal composing principle of oral poetry, among the serbian oral epic poetry have chosen works about Marko Kraljević, universal hero of the Balkan peninsula. For comparing with those works, have chosen a korean folk ballad ‘Jeongseon Arari’. In this article, we put more emphasis on semantic composing principles of the oral poetry.
논문 개요
1. 머리말
2. 구비시가 작시단위의 층위
3.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