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nominal Words in Some Indo-European Languages and in Korean (I)
- 한국중동부유럽학회
- 동유럽발칸학
- 동유럽발칸학 제2권 제1호
-
2000.0647 - 58 (12 pages)
- 13

대명사의 범주는 어휘론에 있어서나 문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대명사는 통상적으로 어휘 항목에서 폐쇄류로 특징지어지는데, 이는 대병사의 수가 한정되어 있고 더 이상 확장되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대명사 어휘소의 하위체계는 의문 대명사,관계 대명사,지시 대명사 그리고 부정(不定) 대명사로 분류된다. 대명사는 다른 품사대신에 그것들의 “대체”로서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의미에서 대명사는 때론 “지시적인”이라는 의미로 불려지기도 한다. 대명사는 그 수에 있어서는 적지만 발화에 있어서 매우 자주 사용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사실은 교육학적인 면에서 볼때 매우 중요한 함축성을 갖고 있다. 한국어에서와 마찬가지로 슬라브어와 다른 많은 인도 유럽어들에서도 “품사들”에로의 어휘적 요소들의 분류는 동질적인 기준, 즉 의미적, 형태론적 그리고 통사론적 기준에 기초하고 있으며, 이 는 대명사에 있어서도 적용된다. 유럽어들에서 원칙적으로 자립어적 품사로 간주되는 것들은 동사, 명사, 형용사 그리고 부사이다. 이러한 자립어적 품사의 하위 체계에서 실명사적 대명사, 형용사적 대명사, 부사적 대명사에 관해 언급할 수가 있다. 언어 기능의 일치적인 면에 있어서 대명사적 하위 체계의 기본 요소들은 수평적 그리고 수직적으로 그 층위가 분류될 수 있다 수평적 충위는 각각 실명사적 대명사,형용사적 대명사, 부사적 대명사,그리고 수량적 대명사, 수량적 형용사, 수량적 부사로 나뉘어 진다. 수직적 충위는 주요한 형태론적, 의미적 범주를 반영하고 있고 그것들 사이의 가능한 상호 대체를 암시하고 있다. 개별적인 대명사들의 항목들은 각각의 명사적,형용사적 또는 부사적 통사적 구문을 나타내고 있다.
1. Introduction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pronouns
3. Position of pronouns in the parts-of-speech system
4. The subsystem of pronominal lexemes
5. Summary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