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GIS 기반 묘지정보관리시스템의 개발 및 실용성 평가

Development and Practicability Evaluation of GIS-Based Cemete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44
105618.jpg

우리나라 장묘문화의 특수성으로 인해 무분별한 묘지 조성으로 인한 산림훼손, 관리 소홀로 인한 무연고묘의 증가 등 문제점들이 대두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정부나 사회단체에서는 화장, 납골 및 공동묘지의 이용을 권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 비전문가인 묘원관리자가 GIS 의 기능을 이해하기 쉽고 사용하기 쉽게 구현하고자 묘지정보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서, 묘지관련 법률, 기존의 프로그램 및 묘원 홈페이지 등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을 조사하고, 사용성 평가를 통해 사용자의 GIS 기능 인식 경향을 파악하여 시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고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아이콘을 사용하여 사용자 경험을 증진시키도록 하였다. 묘원관리 업무는 사무실에서만 아니라 현장에서도 이루어지므로 사무실에서는 데스크탑을 활용하여 입력, 수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현장에서는 GPS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FDA를 활용하여 현재 위치를 확인하면서 정보를 조회 업력 등 터치스크린을 활용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여러 가지 Open source software들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더 많은 묘원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uniqueness of Korean funeral culture has produced the problems such as forest indiscreet cemetery development and increase of cemeteries for those without surveying family due to negligent management. To solve these problems, government and social organization have recommended a use of cremation, charmel house and cemete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emete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hich cemetery managers who are GIS lay persons are able to understand GIS functions easily and use conveniently Cemetery management tasks should be done not only in the office but also at the field. In the office, managers perform GIS functions like input, modification and so forth using a desktop. And at the field, they perform the functions like simple input, inquiry using a PDA(Touchscreen) that can receive GPS signal. As various open source softwares were used to build the system. the expense was reduced largely, and we could expect the possibility that it can be utilized in more cemeteries by adding more various functions

1. 서 론

2. 연구방법

3. 묘원 정보 관리

4. 묘지정보관리시스템 개발

5. 사용성 평가

6. 묘지정보관리시스템의 적용

7.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