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출판마케터의 역할에 관한 연구

Study on marketer's role in publishing companies ― based on the DACUM job analysis

  • 333
105728.jpg

최근 출판환경의 변화로 한국 출판산업은 ‘마케팅 시대’라고 불리울 정도로 마케팅과 기획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즉 마케팅 영역이 기획 영역만큼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전문적 능력을 갖춘 출판마케팅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새로이 요구되는 출판마케터의 역할을 명확히 파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출판마케터의 역할을 DACUM이라는 직무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출판마케터의 직무를 구성하는 8개의 임무와 각 임무영역을 구성하는 45개의 수행작업이 도출되었으며, 각 작업에 대한 중요도, 난이도, 수행 빈도를 조사하고 입직초기에 갖추어야 할 핵심 작업이 분석되었다. 또한 직무분석 내용을 구조화하여 DACUM 리서치 차트를 완성함으로써 출판마케터의 직무모형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출판마케터의 직무 모형은 출판관련 학과의 교육과정 개발 및 직무 연수 내용의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As the publishing industry rapidly changes, rec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marketing department is emerging as well as importance of contents. So the role of marketers in publishing companies is also significant. Therefore, a new and systematic well-organized job analysis of publishing marketer is highly requested. This paper utilized a DACUM (Developing A CurriculUM) method for marketers' role in publishing companies and presented a job role as a systematic model. With a DACUM job analysis, we retrieved 8 essential job duties and 45 tasks, and then examined their importance, difficulty, frequency and entry level tasks that are required before marketer is hired. We also established a structure of the job analysis results, completed a DACUM research chart, and consequently built a marketer's job model in publishing industry. The proposed model and the result of this paper is expected to be used as a fundamental material for a future job organization of marketer in publishing companies, a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college, and a priority decision making process of on-the-job training program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thereafter.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Ⅱ. 문헌 연구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함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