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5641.jpg
KCI등재 학술저널

상황적 학습에 근거한 사회적 참여로서의 협업적 도제학습모형의 현장적용에 대한 탐색

A Study on the Field Application of Collaborative Apprenticeship Model of Learning as the Social Participation Based on Situated Learning

  • 432

본 연구는 오늘날 교육이 개인에 초점을 두고 지식의 습득과 능력발달에 주된 목적을 두고 있어서, 21세기의 다원화된 사회에서 필요한 함께 일하며 함께 배우는 공동체 의식과 실천적 지식을 키워주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학습을 안내된 사회적 참여(guided social participation)와 관계의 과정으로 보고 상황적 학습(situated learning)에 근거한 협업적 도제학습모형(collaborative apprenticeship model of learning)을 제안하여 현장적용의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Jean Lave와 Etinne Wenger, Barbara Rogoff 등이 제안하는 상황적 학습과 도제교육, 실천공동체 등의 논의에 대한 문헌고찰 방법을 사용하여 협업적 도제학습모형을 구성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지식의 상황성과 학생들의 능동적 참여 및 협업을 강조하는 협업적 도제학습모형을 구안하였다. 본 모형은 교사와 학생이 함께 협업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는 점에서는 인지적 도제모형(cognitive apprenticeship model)과 유사하지만, 문제 자체를 구체화하여 문제해결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이 학생들 주도로 이루어지며 교사의 개입은 최소한으로 제한한다는 점에서 인지적 도제모형과 차이가 있다. 또한 협업적 도제학습모형이 기존의 인지적 도제모형에서 강조하는 도제학습이나 교수적 도움 및 안내를 포함하고 있지만, 협업의 과정이 3단계의 소집단 탐구절차로 구성되며 소집단 토론과 협의의 과정은 집단 구성원들의 명확한 역할 규정(자료수집 및 정리하기,발표하기, 질문하기, 피드백 주기)을 따른다는 점에서 독특성을 갖고 있다. 비록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이 문헌고찰에 기반하고 있으나, 인간의 사회문화적 발달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과 사례들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토대로 하여 앞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통합적 모델을 구안할 수 있다면, 효과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등 다양한 교육적 시도들과 이에 대한 풍부한 논의들이 현장중심의 교육의 변화를 위한 또 하나의 담론을 형성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ollaborative apprenticeship model of learning based on situated learning by looking at learning as the process of guided social participation and relationships and seeking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in the field. The need for such a model is derived from our inability to heighten the sense of community and practical knowledge throughout our lives in order to live together in the pluralistic society of the 21st century, since today’s education is focused on the individual with the main objective of acquiring knowledge and developing capabilities.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is study formed a collaborative apprenticeship model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regarding situated learning, apprenticeship education, and communities of practice suggested by Jean Lave, Etinne Wenger, and Barbara Rogoff. The study results describe “the collaborative apprenticeship model of learning”, which emphasizes the condition of knowledge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students. This model is similar to the cognitive apprenticeship model, in that teachers and students work together to resolve problems. However, it is different from the cognitive apprenticeship model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whole process of identifying the problem and resolving it is led by students and intervention from teachers is kept to a minimum. Additionally, the collaborative apprenticeship model of learning includes the apprenticeship learning or the help and guidance of teacher, which are emphasized in the existing cognitive apprenticeship model. The new model is unique, however, in that the process of collaboration consists of three stages of study procedures for a small group; and the small group follows the clear roles (collecting and organizing data, making presentations, asking questions and giving feedback) provided for the group members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and consulting. Even though the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is based on literature review, it is based on the comparison analysis of various theories and examples associated with human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Therefore, if we develop a verified integrated model in the future, then various educational attempts, such a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and a great deal of discussion about these attempts can be expected to create another argument to change field-oriented education.

Ⅰ. 서 론

Ⅱ.교수학습에 대한 새로운 관점:사회적 실천으로서의 학습

Ⅲ. 관계와 참여를 지향하는 협업적 도제학습

Ⅵ.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