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아산 갈매리유적 목제품의 이용 양상에 관한 연구이다. 유적에서는 목재 밀집지의 존재와 함께 다량의 목제품이 확인되었으며 당시의 문화적 성격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라 생각된다. 이를 위해 우선, 목제품에서 확인되는 가공 흔적을 관찰하여 이용되었던 도구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되었던 도구는 도끼, 자귀, 끌, 송곳, 톱, 손도자 이며, 가공 도구의 기능을 고려할 때 유적에서는 벌채부터 완성단계까지 일련의 제작 과정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제작 기술의 수준은 그리 높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되며, 가공 과정을 통해 완성된 목제품이 실제 이용되었는지의 여부는 불분명하므로 이를 전제로 사용 흔적을 관찰하였다. 분류 기준은 마모면, 잔 흔, 마찰된 면으로 구분되며, 이를 목제품의 용도 분류에 적용하여 기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경작을 위한 농기구의 비율은 낮으며 실생활에 사용된 목제품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대형 목재를 분할하는 공구로서 쐐기가 사용되었으며 목기 생산을 알 수 있는 요소는 간취되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유적 내에서 확인된 목제품들이 실생활에 사용되었던 도구들이며, 더 나아가 원목재가 교역 대상품으로 취급되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자 한다. 한 유적 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자료 검토에 한계가 있지만, 목제품의 출토 사례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관찰 기준을 제시한 것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wooden relics of Galmaeri Site were used. In the site where woods were concentrated, a number of wooden relics were excavated, which are believed to tell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rocessing traces in these wooden articles to assume tools used. As a result, axes, adzes, chisels, drills, saws, and bevels were found to be used. Given functions of these tools, a series of manufacturing processes from lumbering to completion were conducted at this site, but manufacturing technique itself appeared not that sophisticated.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all of the wooden articles are not likely to have been in use actually, we looked into traces of their uses. Criteria such as abrasion surface, fine traces, and reused surface were considered to classify uses of these wooden relics to examine their function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d that a small number of the articles were used for farming, and wedges were used to split larger woods. Also, these wooden articles were mostly used for everyday living, and we found no factors that show the production of wooden containers. It is probable that wooden articles of the relics were associated with daily lives, and large hardwoods were a trading item. Although the study has a limitation to review materials, by focusing on a single site, it has significance of suggesting a set of criteria for observation, as excavation of wooden relics is growing.
Ⅰ. 머리말
Ⅱ. 가공흔 분석과 제작 기술
Ⅲ. 기능 검토를 통한 목제품의 이용 양상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