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純元王后 한글御札의 美學的 分析

  • 70
106240.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純祖妃 純元王尼는 王妃이면서도 擉特한 藝術性과 을 지닌 한글 진흘림 書體로 一家를 이루고 있다. 純元王尼 한글 진흘림 獅札은 簡潔하고 壓縮된 文章속에 잘 쓰겠다는 筆寫者의 繊細한 感感情이 包含되어 筆의 흐름이 自然스럽고 子· 母音의 變化가 多樣하며 劃의 連結이 奔放하면서도 흐트러짐이 없어 調和와 平衝을 이루고 있다. 結構上에서는 字形美를 形成하는 書線의 長短에서 讀까지 初· 中· 終聲의 種類와 上下左右와의 調和로운 關係性에 따라 一定한 規拒에 따른 變化로 書體美를 形成시키고 있다. 運筆上에서는 點劃의 部分에 따라 움직임이나 멈춤, 빠름, 느림 같은 變化를 運筆로서 調節하였고, 붓의 力量을 集中시킨 中錢運筆로 立體感이 드러나는 건실한 劃을 볼 수 있으나 偏錢을 취하여 書線上에 美感을 높게 하려는 筆寫者의 意圖도 엿볼 수 있다. 布置上에 文字配列은 行을 一定하게 맞추어 썼기 때문에 規拒가 整齊하고 端雅함을 느낄 수 있으며 配字間隔은 좁게 하고 配列間隔은 넓게 하여 充分한 餘白美와 氣孤의 相通함이 영활함을 느낄 수 있다. 書體美形成의 內面에는 趙惠性과 藝術性의 結合을 지향하여 現實의 共同體的을 벗어나지 않고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으려는 當時代의 中庸的 삶의 態度가 美一觸的 特質로 內在되어 있다.

1. 序論

2. 諸般的 考察

3. 書體의 美學的 分析

4. 結論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