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6302.jpg
KCI등재 학술저널

영산강 유역 마을의 신앙적 조형물의 특징

The Distributional Aspects and Features of The Distributional Aspects and Features of Yeongsan River

  • 64

장승, 입석, 솟대, 조탑을 하나의 공간민속으로 인식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영산강 유역 마을의 신앙적 조형물을 유형 분류하여 그 기능을 비롯한 지역적인 특징을 확인하고자 했다. 여기서 신앙적 조형물은 인간이 삶의 부정적인 요소를 극복하기 위해 특정 공간에 설치한 인공물(표상물) 등을 말한다. 특정 공간이라 함은 마을의 울타리나 입구를 말하며, 마을사람들의 삶의 공간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생산적인 공간으로 유지하기 위해 이곳에 인공물로서 장승, 입석, 조탑, 솟대를 세운다. 이들을 마을 공간민속의 하나로 설정하고 이해하면 종교적인 것뿐만 아니라 풍수사상을 비롯한 마을사람들의 풍수적 관념 등과 연계해서 해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신앙적 조형물 가운데 먼저 영산강 유역에서 조사된 장승은 59기(基)이고, 그 가운데 석장승이 76%의 비중을 차지할 만큼 많이 분포하고 있다. 그리고 마을장승이 39기이지만, 사찰장승이 20기로 3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기능별로 분류하면 비보장승 5기, 신앙장승 9기, 비보신앙장승이 14기로 확인되었는데, 이들 대부분은 마을장승의 성격이 강하다. 두 번째 입석은 모두 573기가 조사되었는데, 기 능별로 분류하면 비보입석 293, 신앙입석 104, 비보신앙입석 60기로서, 입석이 주로 비보풍수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세 번째 조탑은 영산강 유역에서 19기가 조사되었는데, 이를 분류하면 비보조탑은 11기, 비보신앙조탑은 5기, 기타 3기이다. 신앙조탑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조탑은 본래 종교적인 목적보다는 비보 풍수적인 것을 수행하기 위해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네 번째 솟대는 영산강 유역에서 모두 14기가 조사되었다. 이를 기능성을 토대로 분류하면 비보솟대가 4기, 비보신앙솟대가 10기이다. 솟대는 거의 대부분 조탑과 마찬가지로 비보풍수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영산강 유역 신앙적 조형물의 특징을 형태적인 측면과 분포권의 측면에서 규명하였다. 먼저 형태적인 측면에서는 주로 입석과 장승이 많이 나타나며, 그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조탑과 솟대가 적게 나타나는 것이 영산강 유역 신앙적 조형물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은 영산강 유역이 입석문화권이라면, 섬진강 유역이 조탑문화권임을 시사해주고 있는 것이다. 두 번째로 분포권의 측면에서 보면, ①신앙적 조형물이 나주를 중심으로 한 영산강 상류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점, ②신앙장승은 주로 영산강의 중하류지역에 분포하고 있고, 비보장승은 영산강의 상류인 내륙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점, ③장승의 형태적인 측면에서 벙거지형 장승이 주로 서해안 일대에 나타나고, 손의 모양이 표현되고 있는 장승은 주로 해남을 제외한 내륙지역에 나타나고 있다는 점, ④비보입석은 나주를 비롯하여 광주, 화순, 담양, 장성, 영광등 주로 영산강 상류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 점, ⑤조탑과 솟대는 거의 대부분 비보풍수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지금까지 장승, 입석, 조탑, 솟대를 공간민속으로 설정 필요성을 검토하였고, 영산강 유역 신앙적 조형물을 분류하여 그 기능을 검토하여 특징을 파악하였다.

Regarding space folklore consisting of Chang-seungs, Standing stones, Sot-daes, and Built-up towers, this study examines the regional features including functions of space folklore of villages in the basin of the Yeongsan river. The number of Chanseungs investigated first in the Yeongsan river basin were 59, and those of Standing stones, Built-up towers, and Sot-daes were 573, 19, and 14, respectively. Seventy-six percent of Changseungs were stone-made. Standing stones functioned as supplementary geomancy, while Built-up towers were not found to function as religious belief. In addition, many Sot-daes functioned as supplementary geomancy just as Standing stones di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space folklore in the Yeongsan river basin were found: 1) The majority of space folklore were Standing stones and Chang-seungs, and these were usually found in the upper basin of the Yeongsan river. 2) Changseungs which functioned as the object of religious belief were mostly observed in the lower mid basin of the Yeongsan river, while Standing stones functioning as supplementary-geomancy were found in the upper Yeongsan river basin. 3) Most of Built-up towers and Sot-daes function as supplementary geomancy.

Ⅰ. 머리말

Ⅱ. 신앙적 조형물의 공간민속으로서 인식 확장

Ⅲ. 신앙적 조형물의 분류와 기능

Ⅳ. 신앙적 조형물의 지역적인 특징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