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호정책 관점에서의 한국형 스마트 그리드 추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curity Policy of Smart Grid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구 한국정보화진흥원)
- 정보화정책저널
- 정보화정책저널 제16권 제4호
-
2009.1273 - 96 (24 pages)
- 171
최근 그린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기존 전력망에 IT 기술을 융합하여 지능적으로 전력을 송∙배전하 는 스마트 그리드의 사업이 급속하게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 그리드가 주요기반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스마 트 그리드의 보안은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은 채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그리드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스마트 그리드의 보안에 대한 고려가 미흡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법∙제도, 조직, 기술의 정보보호정책 관점에서 미국과 국내의 스마트 그리드의 보안 현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스마트 그리드 추진을 위한 정보보호정책 방안으로 스마트 그리드의 보안에 대한 법∙제도의 정비, 스마트 그리드 관련 보안 조직의 창설 및 연구기관에 대한 지원, 스마트 그리드 보안 기술에 대한 체계화된 연구계획의 수립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안은 스마트 그리드 보안의 제고와 함께, 스마트 그리드 추진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Smart Grid is a new electricity grid which transmits and distributes electricity intelligently by converging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to the traditional electricity grid. Recently, the Smart Grid projects are promoted rapidly because the ‘Green Energy’becomes more and more interesting. However, the projects are underway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Smart Grid Security seriously, though Smart Grid is a critical infrastructure. In this paper, we find that the consideration of Smart Grid Security is not insufficient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Smart Grid. And we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mart Grid Security statu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On the basis of results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we suggest the following three methods: 1) the improvement of the legal system related with the Smart Grid Security, 2) the establishment and support of the Smart Grid Security organizations, 3) the making of strategic R&D plan for the Smart Grid Security technology. These proposals will contribute the Smart Grid Security and guarantee promotion of the Smart Grid.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