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초록
최근 웰빙이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자리잡아가고 있고, 이러한 트렌드에 시의성 있는 대응으로 웰빙 마케팅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웰빙 마케팅의 주요 개념인 웰빙 소비자 가치가 소비가치를 매개로 하여 관계 마케팅의 핵심 변수인 ‘신뢰-만족-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려는 것이다. 즉 본 연구는 웰빙 마케팅과 관계마케팅의 통합적 관점에서의 연구를 지향하고 있는 것이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웰빙 소비자 가치는 웰빙 상품의 소비가치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웰빙 상품 소비가치는 관계품질인 신뢰와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웰빙 상품의 신뢰는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만족은 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실증되었으나, 신뢰는 만족을 매개하여 애호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연구의 한계와 미래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In recent years, the well-being concept has been new and main trends of consumption. A few studies are starting to make a research on these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cusing on well-being consumption values which are major constructs of well-being marketing. And then, how do they causally affect 'trust-satisfaction-loyalty' with mediating variables of consumption value? This question was resolved by this study. In other words, we integrated the framework of well-being marketing and relationshipmarketing. Results are as follows; Antecedent of this research model are well-being consumption values(mental value, healthy value, eco-friendly value). Two of them(mental value, eco-friendly value)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onsumption value of well-being product, but mental value is not significant. In terms of consumption value of well-being product(individual value, product value, social value), all variables are significant on trust, but the only variable which is significant on satis faction is product value. Finally, we empirically t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satisfaction, satisfaction and loyalty. Those relationships are significant.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과 가설의 설정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0)
등록된 수록 논문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