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6429.jpg
KCI등재 학술저널

조선족의 미래

A Study Future of ‘Chosonjok’

  • 189

한반도와 중국은 자연적으로 인접되어 역사적으로 중국에 살았던 인구가 적지 않았다. 하지만 19세기 이전에 중국에 이주 정착한 자들은 거의가 중국 현지인 속으로 합류하여 동화되었다. 오늘의 조선족은 한반도에서 근대민족인 조선민족으로 형성한 후 중국으로 이주한 족속들이다. 자연재해와 삼정문란으로 인한 자주적 이주로부터 국권상실로 인한 강제적 이주까지 중국으로 이주한 조선인들은 현지의 관헌, 지주 및 일제로부터 이중, 삼중적 압박과 착취를 받으면서 불운을 극복해야만 했다. 그들은 망국의 어려운 신세를 고치기 위해 중국 현지인들과 일제를 쫓아내는 일에 협력하였고 최종적으로 자신을 헤아려주는 중국공산당 계열에 합세하여 국민당 세력을 대륙에서 소탕하는 데 불후의 기여를 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건립과 더불어 국가의 주인으로 된 조선족은 높은 교육열과 강한 투지로 자민족의 전반적 문화와 경제 수준을 한때 중국 1위로 부상시켜 중국에서 모범민족으로 발돋움하였다. 개혁개방 후 시장경제를 맞이하면서 조선족 사회에는 민족교육의 퇴화, 민족 이미지 결손과 가치관의 동요, 응집력 약화 등 문제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시장경제에서 겪지 않을 수 없는 고비로서 이러한 어려움을 넘기기 위해 조선족 사회는 조선족 학교의 경쟁력 향상, 민족의 종합적 자질 향상, 펀드 형성, 전통 민족문화예술의 복구발전에 노력해야만 민족적 생명력을 강화시킬 수 있어 아름다운 앞날을 전망할 수 있을 것이다

朝鲜半岛与中国一衣带水,因此历史上曾经移居中国的朝鲜人并不少。然而在十九世纪之前移居中国者大多融入汉族或满蒙等其他少数民族之中。今天的朝鲜族是朝鲜民族这一朝鲜半岛的近代民族形成之后移居至中国的族群,她们是中国为数不多的跨境民族之一。从因为连年的自然灾害和政治腐朽而开始自由移居中国,到因为丧失国家主权而被强制移居中国的朝鲜人起初要遭受中国官衙、地主和日本侵略势力的二重、三重的压迫和剥削。为了改变这种受压迫的命运,他们同中国人民一道打击和驱逐了日本侵略者,最终追随保护朝鲜族利益的中国共产党为将国民党反动势力扫除大陆做出了不朽的贡献。随着中华人民共和国的建立而成为国家之主人的朝鲜族以极高的教育热情和坚韧的斗志一度曾将本民族的文化和经济水平建设至中国各民族之首,而成为中国各民族学习的模范民族。改革开放后,迎来了市场经济的朝鲜族社会出现了民族教育退化、民族形象受损、价值观动摇及民族凝聚力减弱等问题。作为在市场经济中无法回避的考验,朝鲜族社会为了克服这些困难就必需努力提高朝鲜族学校的竞争力,提高朝鲜族的综合素质,建立基金,重建并发展传统民族文化艺术,只有这样才能增强朝鲜族的民族生命力,而开创更美好的未来。

Ⅰ. 서 언

Ⅱ. 중국 조선족은 누구인가

Ⅲ. 중한 수교 후 조선족 사회가 직면한 문제점

Ⅳ. 도전 중의 조선족

Ⅴ. 결 어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