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의 글로벌 역량강화 및 세계 여러 국가에 거주하고 있는 한민족 청소년 인적자원 활용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려는 연구의 일환으로 중국내 조선족 청소년의 실태를 조사연구 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조선족 청소년들이 한국인에 대해서 어떠한 인식과 태도를 가지고 있는가를 밝히고, 이들이 한민족 후손으로서 한민족의 일원이라는 자부심이 어느 정도인가를 교차분석과 회귀분석을 방법을 통해서 체계적으로 밝혀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로 이루어졌다. 문헌연구는 중국조선족의 이주와 정착에 대해서 설명하고 조선족의 중국에서의 지위와 역할 등에 관한 자료를 소개하고 있다. 한편, 설문조사는 중국에서 조선족들이 비교적 많이 거주하고 있는 5개 지역을 선정하여 조선족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고등학생과 대학생으로 한정하였으며 810명을 최종 응답자수로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결과 조선족 청소년들은 한국어나 한민족배경에 대해서 매우 긍정적인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들은 선조들의 모국인 한국과 한국 사람들에 대해서 비교적 좋은 느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조선족 청소년들은 자기가 한민족 후손이라는 것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This study works on the life conditions of young Korean Chinese in China. In dealing with this matter, this paper first illustrates some attitudes of young Korean Chinese towards Korean people. Then, this paper systematically shows their pride in terms of the Korean nationality by using cross-tabulation and logit regression methods. This paper is composed of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the surveyed data. Literatures review the migration and living patterns of the Korean Chinese as well as the status and role of them in China. The survey for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five areas where relatively many Korean Chinese have lived. The respondents for the survey are students of high school and university. The total sample size for the survey turned out to be 810.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 that young Korean Chinese are very positive in the attitudes towards Korean language and Korean background. In addition, they are very favorable for Korean people. As a result, they have a very high level of pride that their ancestors are Korean peopl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성향
Ⅳ. 조선족 청소년의 한국인에 대한 태도
Ⅴ. 결론: 한민족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