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1년에 발견된 장무이묘는 대방군의 위치를 한강유역으로 보는 기존설을 황해도로 바꾼 결정적인 고고학적 증거가 되었다. 또한 세키노에 의해서 궁륭상 천장의 전실묘로 복원된 점과 출토된 명문전의 戊申年간지는 이 무덤의 축조시기를 낙랑·대방군의 멸망연대보다 빠른 288년으로 고정시키기에 충분했다. 장무이묘의 연 대결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세키노의 복원안은 지금까지 그 어떤 연구자도 의문을 제기한 적이 없다. 그런데 필자는 장무이묘의 조사 과정과 내용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의미있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 했다. 그 하나는 장무이묘에서 출토된 문자전돌의 종류와 내용이 그간의 집성과 다르다는 것인데, 출토 유물의 현지조사를 통해서 이를 바로 잡았다. 뿐만 아니라 이 고분의 천장이 궁륭상이 아니고 석개천장이라는 사실도 밝혀내었다. 이는 대단히 중요한 고고학적 발견으로 이 무덤의 연대가 궁륭상이기 때문에, 353년으로 알려진 석개천장의 동리묘보다는 최소한 시기가 올라가야 된다는 설명 틀에서 자유로워지는 단서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장무이묘를 구성하는 많은 속성에서 고구려적인 요소가 발견되는 것을 근거로 장무이묘가 4세기 중엽 이후의 고구려 무덤임을 분명히 했다. 결국 고고학적으로 보아도 장무이묘의 피장자가 대방태수라는 것은 허구의 자칭인 것이 분명하다.
Despite the controversy about location of DaeBang Province(帶方郡) and Provincial office(郡治) caused by JangMui–Tomb and character protrusion that was excavate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archeology community in Korea have not done any reexamination and verification about the survey and excavated remains, which seems to a problem. JangMui–Tomb, which was found around 1911, became a conclusive evidence for amending existing assumption of location of DaeBang Province(帶方郡) from Han River(漢江) area to Hwanghae–do(黃海道). Also, the fact that SEKINO–Tadashi(關野貞) had restored to Brick chamber tombs of Dome ceiling and MuShin–year(戊申年) character of MyungMoonJeon(銘文塼) has fixed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is tomb to 288 years prior to fall of NakRang(樂걌)·DaeBang(帶方) Province for a long time. It was because of the basic recognition that the Dome typed ceiling precedes before Stone ceiling. I found many significant facts through reexamining the investigation of JangMui–tomb that was taken in 1911. One of them is that type and contents of character protrusion which was excavated in JangMui–tomb and I fixed it through surveying real data. moreover, the type of tomb ceiling is Stone type not Dome type. This is really important archeological discovery that can be work as clue which refutes explanation of the age of this tomb. The explanation was that the age of this tomb precedes DongRi–tomb of stone ceiling which is known as A.D 353 because the age of its ceiling is Dome type. Furthermore, I clarified that many component of JangMui–tomb is the tomb of Goguryo(高句麗) that was built around late 4c.
Ⅰ. 張撫夷墓의 발굴과 연구사
Ⅱ. 조사경과와 출토유물의 재검토
Ⅲ. 張撫夷墓의 구조에 대한 신 견해
Ⅳ. 張撫夷墓의 고구려적 요소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