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만의 조석조화해석 및 장기해수먼 변동연구
A Study on the Tidal Harmonic Analysis, and long-term Sea Level Ocillations at Incheon Bay
- 한국측량학회
- 한국측량학회지
- 한국측량학회지 제28권 제5호
-
2010.10505 - 513 (9 pages)
- 47

인천만 조석분조의 특성 및 장기해수면 변동 상황을 고찰학 위해 인천항 항만건설 전.후, 독립적으로 설치.운영된 세 곳의 조위관측소 상황을 파악하고 총 40년간(1960~2007)의 조위관측자료에 대한 조화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조석의 주요 4분조(M2,S2,K1,O1)는 관측소 별로 18.61년의 달 교점 cycle에 따른 변동을 보였고, 세 관측소의 조석유형은 모두 반일주조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조위예측 시, 조위예측의 정확도는 조위관측자료의 누적 년 수 보다는 과거의 월별 조위특성과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세 관측소의 조위자료를 40년간 단일 시계열 자료로 가정하고 분석한 결과, 평균해수면 및 기본수준면의 장기간 해수면 변동은 각 조위관측소 별로 평균 10cm 내.외의 변동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여러 종류의 위성고도계 자료(Topex Poseidon,Topex Tandem,ERS,GFO)를 근간으로 한 OSU(Oregon State University)의 지역 및 광역 조석모델에 의한 인천항 조위관측소의 조석분석 결과, 지역적 특성을 수렴한 고 해상 모델일수록 복잡한 해협이나 연안지역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idal constituents, and long-term mean sea level oscillations at lncheon bay. For this, the conditions of three tide stations around Incheon bay have examined, and carried out harmonic analysis on water level data for periods of about 40 years(1960- 2007). Four major tidal constituents(M2, S2, KI, 01) of each tide station showed tendency that change over the 18.61year lunar node cycle, and the type of tide at three stations is mainly semi-diurnal tides. And also, the past monthly tidal modulations are especially sensitive to the cumulative year of water level data in accuracy of tidal prediction. ln case that regard the detached data at three tide stations as a single time series data of 40 years, the results of analysis on a single time series, long-tenn mean sea level oscillations and modulations of tidal datum at tide stations appears with a range of about 10cm,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redicted tides at the lncheon harbor by global and regional tide models of OSU(Oregon State Univers ity) based on various satellite altimetric(Topex Poseidon, Topex Tandem, ERS, GFO) data are compared with the obse1ved tides by KHOA.(the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iministr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 resolution regional model is a quite good agreement at coastal shallow water region.
1. 서 론
2. 연구 목적 및 방법
3. 조석의 조화분석
4. 연구내용 및 분석
5.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