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목관(孔目官)의 기록은 당대에 처음 등장하는데 일종의 서리신분으로 해당 기관의 수장을 도와 문서 및 회계장부와 관련된 사무성 작업을 처리했다. 당오대 시기는 공목관이 출현하고 발전하는 중요한 시기로 공목관의 기구조직이 완성되고 직무의 분배가 명확해져 이후 공목관제도가 유지되는 기초를 마련했다. 지난 세기 이래로 다수의 학자들이 성실한 연구작업을 진행해 왔지만 여전히 계속적으로 탐구해볼 여지가 남아 있다. 본 논문은 현존하는 자료에 대한 비교분석과 당오대 역사의 변천 배경을 결합해 공목관의 설치, 직무 및 그 체계화 문제에 대해 논증을 진행했다. 공목관의 설치 상황을 살펴보면, 우선 당오대 중앙 관서에 줄곧 공목관이 설치되어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중앙 군대 시스템(左右神策軍) 속의 공목관은 신책군 건립 이전에 설치된 것으로 이는 지방 관직 체계가 중앙 관직에 반영된 한 모습이라고 하겠다. 당대 지방의 공목관은 개원 연간에 변강지역의 중요 군진에만 설치되었다가 안사의 난 이후 절도사체제의 전면적 시행에 의해 내지에도 설치되기 시작했다. 공목관의 직무에 대해 살펴보면, 당후기 및 오대 시기에 점차적인계통화를 이루었는데 이는 주로 지방에 설치한 공목관이 종적으로 등급상의 구분과 횡적으로는 부서사이의 직무 분류의 모습을 보이고 공목관관서가 확대화되는 것으로 구체화되었다. 이외에, 공목관의 직무는 국가 형세의 변화에 따라 복잡해졌다. 당 후기 번진이 오대 정권을 건립한 후 공목관의 지위는 이와 더불어 상승하게 되고 번진에서 공목관을 담당한 적이 있는 많은 관리들이 조정의 요직을 맡게 되었다. 당시 능력있는 관리(吏幹)를 중요시하는 정치적 분위기는 공목관 출신 관원이 중앙정책 결정에 참여하는 기회를 증가시켰다. 공목관의 지위 변화는 번진체제의 중앙화 과정에서 체현되었다고 할 수 있다.
Kongmuguan was first recorded in the literature which belonged to Tang Dynasty. Kongmuguan was a title of official, which was established in Tang Dynasty and came into prominence in the administrations on both the central level and various local levels in late Tang Dynasty and Five dynasties. Kongmuguan’s main function was to help the superiors deal with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events. During Tang Dynasty’s and Five dynasties’ period, the development of Kongmuguan was conspicuous, including its organization and function. From the 20th century, the historiography of Kongmuguan’s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many scholars; but they still leave us some research space of this task. This article tries to comprehend and compare the current historical records, in order to explore more information on Kongmugua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establishment, the function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ngmuguan in a systematic manner. Kongmuguan was established in the central level during the Tang Dynasty’s and Five dynasties’ period; but Kongmuguan in the central military system was derived from the Shencejun, an army which lied in the northwest China. This kind of installment of Kongmuguan had reflected that the form of local military system came into the central military. This is a trait of the military system in that period. Kongmuguan was only existed in some important military districts on the boundary in kaiyuan period; after the rebellion of Anshi, Kongmuguan began to be set up in all regions which the central government could manage. The function of Kongmuguan had gradually become systematized in late Tang and Five dynasties’ period. The change of Kongmuguan in localities was obvious. Different ranks had come up in this official, and Kongmuguan had been endowed with many different functions. Besides, the number of people who assumed Kongmuguan was also increased strikingly. When Five dynasties were set up one by one, Kongmuguan had changed a powerful official; the person who served as Kongmuguan began to play critical rule in the court. In that period, the rulers need persons who had the experiences about how to administer well which Kongmuguan owned. So many people who had acted as Kongmuguan seized the opportunities to become the important officials in the government. The change of Kongmuguan’s status reflects the fact of the transformation from Tang Dynasty to Song Dynasty, because the notion of administering the country had changed deeply.
一、孔目官之設置
二、晚唐五代孔目官的系統化
三、孔目官之職掌與地位
四、幾點認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