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근래 국내 산업의 고도화와 수출입 증가에 따른 경제력의 상승과 함께 도로, 교량 및 항만시설의 확충과 각종 호안 및 해상구조물의 건설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9대 신항만의 건설과 기존어항의 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구조물의 대부분은 교각기초, 안벽,돌핀, 안벽, 돌제 등은 강재나 콘크리트 파일로 새롭게 건설되고 있다. 이들 기초, 지지격벽 및 파일은 건설 후에 수면아래에 있게 되므로 구조물의 상태를 파악하기가 어렵고, 그 구조물의 보수나 보강이 충분하지 못한 상태이다. 더구나 매년 이러한 유지 보수작업은 구조물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불완전한 보수와 수중공사로 인한 장기작업으로 고비용 때문에 정부의 예산을 소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부예산의 지출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기존 구조물의 내구연한을 연장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유식 케이슨으로 건식작업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평균해수면 수중구조물의 유지를 위한 새로운 기법을 개발하였다. DCPM은 작업구간을 쉽게 이동하고 취급이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CPM은 유지보수비용 및 방식작업 시간을 현저하게 줄였다 DCPM은 해안 및 수중구조물의 유지와 건설비용을 줄이는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본다.
Together with the trend of enhancement in domestic industrial development and economic progress due to import and export, the demand for construction of the roads, bridges, especially port facilities, and several Coastal protection and ocean structures is increasing rapidly. MOMAF of Korean Government is driving construction of 9 new ports and renovation of the existing fishery ports. Among these structures most of bridge base, wharves, dolphins, quays, and jetties are being newly built of steel or concrete pile. As the base, supporting bulkheads, and piles are underwater after construction,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the status of structures and not enough to get maintenance and strengthen the structures. Every yeaκ moreover these works suck the government budget due to higher incomplete maintenance expense for protection from corrosions of structures and ínσ'eased underwater construction period. For the purpose of cutting down the expense o[ government budget,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life cycle of the existing structures. Therefore, we developed a new method for maintenance of submerged structures near the waterline by allowing dry work environment with the floating caisson The method shows easy to move around the working area and handle. It also showed not only a significant reduction of maintenance expenses and time for anti-corrosion work but also better protection This will be a milestone to reduce the maintenance and construction expenses for the shore and water structures.
목차
1. 서 론
2. 공법의 기술적 배경 및 적용현황
3. 기술 개발의 내용
4. 결 론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6)
- 수중 항만구조물의 유지보수를 위한 건식 케이슨 공법 개발
- 선박조종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반복 항해 훈련이 선박 조종에 미치는 영향
-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수직형 블록의 이적작업을 위한 할당 및 작업순서
- 쓰나미의 공진주기파를 고려한 항내 계류선박의 시계열 해석
- 인천항 컨테이너 화물 유치방안에 대한 연구
- Transfer Crane의 고장 및 정비 표준화
- 영일만 항만에서의 부진동 변화에 관한 연구
- 부산 북항 재개발지역 경관계획에 관한 연구
-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실시간 선적계획을 위한 발견적 해법
- 선박규모별 컨테이너 하역 비용가치 평가
- 상선승무원들의 질병실태 조사
- 컨테이너터미널 리모델링 기술검토
- 유공보강판의 좌굴 및 극한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 항만 경쟁구조 분석
- 해운기업의 내.외부환경요인이 전자상거래 활용수준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국내 검수업의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추천 논문
-
수중 부유구조물에 의한 세굴특성 분석KCI등재최흥식, 이창훈, Choi Heung-Sik, Lee Chang-Hun 한국방재학회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1권6호 2011.12
-
박승현, 이승오, 정태화, 조용식, Park Seung-Hyun, Lee Seung-Oh, Jung Tae-Hwa, Cho Yong-Sik 한국방재학회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7권5호 2007.12
-
배일로, 이종인, Bae Il-Ro, Lee Jong-In 한국방재학회 3. 한국방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4년 2014.02
-
문인호, 이종재, 박철, 정지승, Moon In-Ho, Lee Jong-Jae, Park Chul, Chung Jee Seung 한국방재학회 3. 한국방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2년 2012.02
-
수중구조물에 의한 고립파의 처오름 저감KCI등재하태민, 정우영, 조용식, Ha Taemin, Jung Wooyoung, Cho Yong-Sik 한국방재학회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2권5호 2012.10
최근이용논문
-
임태훈(Taehun Lim) 통합유럽연구회 통합유럽연구 제13권 3집 202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