賴瑞和씨의 저서 당대중층문관(唐代中層文官)은 그의 당대 문관에 대한 전체 3부작의 연구 가운데 제2부에 해당하는 것이다. 삼원어사(三院御史)․습유(拾遺)․보궐(補闕)․낭관(郎官) 등의 경관(京官)과, 현령(縣令).사록(司錄)이나 참군(參軍) 등의 지방관, 그리고 막부관(幕府官)으로서의 판관(判官) 등을 포함하여 그가 정의하고 있는 당대 중층 문관들의 10가지 관직들에 대하여 주로 토론하고 있다. 본문에서는 시각이나 방법, 그리고 참신한 점이나 생각해야 할 문제 점 등의 방면에서 이 책을 평론하고 있다. 일반적인 당대 관제(官制)를 다룬 저술과 다른 점은 이 책이 특출나게 봉연(封演)의 ‘팔준도(八儁圖)’와 백거이(白居易)의 책문(策文)에서 계시(啓示)를 얻었다는 점이다. 팔준(八儁)의 기초 위에 이를 관직으로 약간 확충하여서, 당대 문관의 가장 바람직한 승진 과정을 잡아서 당대 사인(士人)의 임관 규율을 그려내었고, 그들의 임관 모델을 만들어내었다. 이것이 당대 관제 연구의 새로운 방식을 만들어 낸 것이다. 연구방법상에서 작자는 안례(案例)의 방법을 사용하여 전기(傳記) 가운데에서 제도사(制度史)를 찾아내는데 힘썼으며, 대량의 생동적인 관력(官歷)을 예증을 운영하여 제도사 연구의 정태적이고 무미건조한 서술에서 벗어나서 당대 중층 문관들의 승진 과정을 명확하게 밝혔다. 그는 또한 전해져 내려온 역사물과 전기물, 시문과 소설, 묘지명과 비석문, 출토된 문서와 여러 종류의 문헌들을 힘껏 운용하는 다양한 증거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하여, 이를 서로 비교하여 상세히 밝혀내어서, 이로서 이전에 밝히지 못하던 것을 밝혀낼 수 있게 되었다. 예컨대 계관(階官)화, 공관(勳官)화, 주현의 등급, 관원의 환유(宦游) 등의 방면에서 그는 새로운 의미의 관점을 풍부하게 제시하여서, 당대 관제의 연구를 심화하고 넓히는 데에 기여하였다. 아울러 일련의 새로운 연구 과제로서, 산(散)․공(勳)․위(衛) 관제, 기술관(伎術官), 청관(清官), 당시(唐詩)와 관제(官制)등을 제시하여서, 연구를 진일보시키기 위해서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서는 새로운 시각에만 그친 것이 아니라 새로이 밝혀낸 바도 크다. 또한, 문필이 아름답고 활발하고 생동감 있으며, 지금으로서는 당대 관제 연구의 가장 새로운 의미를 갖고 있으며, 가장 읽을 만한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당연히, 본서는 관직의 표준적인 채용과 세 계층의 문관의 분류원칙 부분에 있어서는 여전히 토론해야할 여지를 남겨놓고 있다. 또한 여러 관점에서는 아직 더 논의되어야 할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 또한, 너무나도 많은 오탈(誤脫)자가 존재한다. 관제는 중국역사를 연구하는 데에서 4가지 열쇄 가운데 하나이다. 賴瑞和씨는 새로운 열쇄하나를 찾아낸 셈이다. 그가 당대 관제 연구의 새로운 영역을 새로이 열어놓은 것을 통해서, 이왕의 연구 규범을 돌파하고, 이정표를 마련한 것과 같은 의미를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As the second book of Lai Swee-fo’s trilogy about civil officials in the Tang dynasty, Civil Officials in the Middle-Level in the Tang Dynasty, studies ten kinds of officials, which contains some officials working in the capital such as Jianchayushi, Dianzhong-shiyushi, Shiyushi, Shiyi, Buque, Langzhong and Yuanwailang, as well as some local officials, such as Xianling and Silu(or Lushi)-canjun, and Panguan. I write a review to this new book about the visual angle, research methods, innovations and some problems. Quite different from other similar subject works, this book discovered and griped a law of the civil official career in the Tang dynasty, which was enlightened by Feng Yan’s “bajun-tu” and Bai Ju-yi’s works. Prof. Lai added a few officials on the base of “bajun” to construct a perfect route of promotion of civil officials. I think this is a new and important discovery in research field of official system in the Tang dynasty. In order to describe a vivid promotion process of the middle-level civil officials more clearly, Prof. Lai concentrated on biography to study history of official system. He used the method of case study and analyzed a large mount of vivid instances of official career, which avoided static and uninteresting narratives. He also used the method of multi-evidence with history records, poems, novels, epitaphs, inscriptions and unearthed documents and made unprecedented achievements. After that, Prof. Lai put forward several new ideas such as official system for jieguan and xunguan, rank of zhou and xian, being an official everywhere, which deepened and expanded the studies of official system in the Tang dynasty. At the same time, he also came up with many new research issues such as sanguan, xunguan, weiguan, jishuguan, qingguan, poem and official system, and pointed out research direction in the future. I think this is the most innovative, deepest and most interesting book about official system in the Tang dynasty because of new visual angle, important innovations and vivid writing.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in this book. For instance, the standard of selecting officials, the principle of classifying civil officials with three levels, some mistakes of viewpoints and words. Official system is considered as one of four keys to study Chinese ancient history. I held the idea that Prof. Lai discovered a new key in the research field to study official system in the Tang dynasty. It broke through the convention and became an important milestone in this research field.
一、封演的“八儁圖”與唐代文官的最佳升遷途徑
二、案例法與制度史研究
三、文獻的運用與多重證據法
四、創新之處
五、商榷之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