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중세국어 관형사형에 분포했던 선어말어미 ‘-오-’가 언어사용자에게 가질 수 있었던 의의를 중심으로 그 소멸의 배경을 살펴보려 하였다. 이를 위해 여러 언어의 관형절 구성을 중심으로 한 범언어적인 증거를 참조하였는데 주어 이외의 논항을 관계화시킬 때 여러 언어들이 격복원을 위해 일련의 문법적 장치를 사용한다는 사실을 중세국어 관형절 구성에 ‘-오-’가 분포하는 사실과 대비하여 생각해 보았다. 또 관형사형에서의 ‘-오-’의 소멸을 중세국어 내의 다른 언어 질서의 변화, 즉 능격동사의 소멸 등과 관련지어 의해 보기도 하였다. ‘-오-’의 소멸은 통보체계 내에서 문맥이 가지는 압도적 가치가 작용한 결과이기도 하다. 국어의 관형절 일반이 가지는 화용론적인 성격도 ‘-오-’ 소멸의 배경과 무관하지 않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