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일본인의 신라고분 조사

The research of Silla Ancient Tombs by Japanese

  • 814
106912.jpg

일본인의 신라고분 조사는 일제의 침탈 이전부터 기초적인 조사가 시행되고 있었기 때문에 대략 1900년대, 1910년대, 1920년대, 1930년 이후 등 4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900년대는 근대적 고고학의 시작기로 외형적으로 돌출되어 나타나는 고건축과 유명한 고분 등의 조사를 시작으로 지표조사의 수준에서 고고학조사가 시행되었다. 발굴된 고분도 있었으나 이는 내부관찰이 용이한 고분에 한한 것이었다, 1910년대는 조선총독부의 조선고적조사 일환으로 신라고분이 본격적으로 조사되기 시작하였고, 아직 지표조사 수준을 벗어난 발굴과 보고서 작성은 이 시기 후반대에 이루어졌다 이 시기에 적석목곽묘, 횡혈식석실묘, 수혈식석곽묘 등 신라고분의 내부구조가 밝혀진 것은 성과라고 할 수 있다. 1920년대는 금관총의 조사에서 신라를 대표하는 화려한 유물의 대량 출토로 조선고적조사의 관심이 경주에 쏠리게 되어 대규모의 봉토분이 발굴된 일제강점기 신라고분 조사의 전성기이다. 따라서 대형 적석목곽묘의 구조가 밝혀진 것은 이 시기의 성과라 할 것이다. 1930년 이후 신라고분 조사는 구제적인 성격의 발굴로 전환되었고, 따라서 다양한 중소형분의 구조가 밝혀진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일제강점기 신라고분 조사에서 신라고분 묘제의 다양성과 내부구조가 확인되고, 독특한 성격의 적석목곽이라는 묘제의 특이성이 부각되었다. 그러나 당시 발굴 수준의 한계, 유물에 대한 집착 등으로 인해 구조의 파악과 발굴 방법의 개선 등에는 커다란 진전이 있었다고 할 수 없을 것 같다. 이는 현재의 검토를 통해 볼 때, 제대로 된 묘형의 인식, 축조 서열의 인식, 봉분의 구성에 대한 인식 등이 확립되었을 만한데도 언급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따라서 일본인에 의해 발굴된 신라고분에 대한 적극적인 재검토가 반드시 이뤄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fundamental research of Silla Ancient Tombs has conducting in the former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Such research was divisible by the 1900's, 1910's, 1920's, 1930's. In the 1900s, The archaeology of modern has begun. It was tried upon Architecture what come to the front and beginning the research of famous tombs started the research of archaeology. At that time, sometime tombs was excavated, however, this research was restricted to the observation inside of tombs. In the 1910s, the research of Silla Ancient Tombs was started to Chosun historical remains’s research. But excavation away from surface survey protect’s scope and making research book is reached of the later parts of this period. at this time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Stone Chamber Tombs, Stone - Lined Tombs, etc, the innards of Silla Ancient Tombs revealed. In the 1920s, Shilla's representative artifact were excavated in quantity from the research of Gold Crown Mound. So, The interesting of Chosun historical remains’s research turned to it. This period, the research of Silla Ancient Tombs was golden day because a massive tombs were excavated. Result of this period accomplished what trace the structure of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Since the 1930s, the research of Silla Ancient Tombs have been converted to detailed excavation. So, this period, the structure of various small and medium-sized tombs revealed. During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Out of the research of Silla Ancient Tombs various material, stack’s method of Silla Ancient Tombs and the inner structure come out into the open. Especially, Unusual material, stack’s method of Tombs stand out it that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of distinctive nature. But, in those days, grasp the structure and upgrade the method of excavation get no better for the limit of excavation level and stick to artifact. In the present view, the right awareness of tombs structure, a grade on the construction, awareness of burial mound's structure had not been established. Therefore, I think that need an active reexamination about excavated Silla Ancient Tombs by japanese.

I. 머리말

II. 일본인의 신라 고분 조사 경과

III. 일본인 조사 적석목곽묘의 검토

VI.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