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Media Pluralism in Azerbaijan since the Independence

  • 45
커버이미지 없음

1991년 소연방에서 독립한 아제르바이잔공화국은 카프카스에 위치한 자원부국으로 우리에게 알려져 있다. 아제르바이잔공화국은 20세기 들어 많은 격변의 시간을 보내면서 큰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변혁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변혁 중 하나가 아제르바이잔에서의 다양한 미디어 매체의 출현이다. 소비에트시기의 아제르바이잔 미디어는 국가의 지원과 통제를 받아 주로 체제선전 매체로 이용되었다. 하지만 1960년대 들어 사회주의와 러시아지배를 비판하는 언론인들이 출현하기 시작하면서 점차 소비에트의 통제를 벗어난 미디어 출범의 토대를 구축했다. 아제르바이잔은 다른 여느 중앙아시아 튀르크계 공화국들보다 (e.g.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자민족 중심적이며 독립적인 미디어 출현과 확산에 노력을 했다. 그 결과 1980년 후반에는 다른 여느 중앙아시아국가들 보다 가장 자신들의(아제리인) 언어와 민족의식, 그리고 문화를 보존한 소비에트 공화국이 되었다. 1991년 독립과 더불어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한 아제르바이잔공화국은 어느 탈 소비에트 독립국가 보다 빠르게 미디어 다원화가 이루어진다. 다양한 민영미디어가 출현했으며 특히 유럽연합의 OSCE (유럽안보협력기구)의 권고로 2005년에는 공영미디어가 출범하게 된다. 외형상의 대중매체 현황만을 고려한다면 오늘날 아제르바이잔공화국은 주변의 많은 탈-소비에트 독립국가와 비교해 볼 때 미디어 다원화가 상당히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즉, 현재 아제르바이잔공화국에는 다양한 국영, 민영, 공영 미디어가 공존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아제르바이잔의 미디어 다원성 내면에는 정부의 미디어 검열을 비롯한 다양한 문제점들이 사회전반에 공론화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독립 후 아제르바이잔 미디어시장에 대한 전반적인 발전과정과 그 과정에서 생긴 다양한 문제점을 중심으로 아제르바이잔의 미디어 다원성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러한 분석은 아제르바이잔의 대중매체 현황뿐만 아니라 아제르바이잔의 정치-사회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아제르바이잔 통계청의 자료와, 아제르바이잔, 터키, 미국 그리고 유럽연합의 다양한 연구기관에서 작성한 설문조사, 보고서 및 논문을 참고하여 보다 심층적이며 균형 있는 아제르바이잔의 대충매체 현황을 조사하려했다.

I. Introduction

II. General Characteristics of Media and Cultural Policy of Azerbaijan

III. Media Landscape in Azerbaijan since the Independence

IV. Diversity and Challenges of the Azerbaijani Media

V. Conclusion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