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7053.jpg
KCI등재 학술저널

개념지도 작성에 근거한 무형식학습 개념의 형성 과정 탐구

  • 1,031

이 연구는 무형식학습이 성인교육에서 출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무형식학습 사용 빈도에 비해 평생교육관점에서 근본 뿌리에 대한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아직도 개념의 지형도가 정립되어 있지 못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념지도 작성 전략을 통해 무형식학습의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대별로 무형식학습의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개념 형성 과정을 분석하고 무형식학습의 이론적 논의와 관련된 계보를 개념지도로 작성하였다. 그 결과, 무형식학습의 근간은 성인의 경험과 반성적 사고, 상황과 맥락, 안드라고지, 행동과학에 상호영향을 주었고, 평생교육의 역사적 변화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평생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변화와 특성을 반영한 맥락적, 통합적 관점에서 무형식학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성인의 성찰, 의도성, 자율성에 근거하여 무형식학습 과정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셋째, 무형식학습의 연구대상과 방법이 다양하게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There has hardly ever been properly discussed about its basic root and concept at a viewpoint of lifelong learning in spite of the fact that informal learning began with adult education. For that reason this study started with critical perspective that the concept of informal learning was not established comparing with the frequency of use. This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how the concept of informal learning formed on the basis of the conceptual mapp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tion process of concept on the basis of the documentary data on informal learning by chronicle and made up the genealogy related to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informal learning into a conceptual mapp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basis of informal learning has been expanded while having an mutual effect on adults' experience and reflective thinking, situation and context, andragogy, behavioral sciences, and also reflects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of lifelong learning. The implications suggested to lifelong learning by su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on informal learning should be done at a contextual and integrated viewpoint reflecting the changes of the life; secondly, it is required that there should be a discussion about the process of informal learning based on adults' reflection, self-direction, autonomy; thirdly, the research of the subject and method should be diversely applied.

I. 문제 제기

II. 무형식학습의 의미, 분석 시기와 방법

III. 무형식학습 개념 형성과정과 개념지도

IV.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