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연구보고서

남녀노인의 세대갈등 현황과 통합방안 연구

  • 2,420
107285.jpg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오늘날 노인세대와 타세대 간에는 세대갈등의 소지가 존재한다. 아직 사회적 차원에서 사람들이 감지하는 세대갈등은 크게 감지되지 않지만 차후에 갈등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고령화에 따라 늘어나는 많은 노인을 소수의 젊은 세대가 어떻게 효율적으로 부양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서부터 청년실업 문제와 이른 정년으로 인한 노인의 실업 문제 간의 균형을 어떻게 이룰 것인가 하는 것 등 여러 세대가 같이 고민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있다.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젊은 세대의 세대문제에 대한 무관심이라고 할 수 있다. 젊은 세대는 노인세대에 무관심함으로써 자신에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치하고 있는 측면이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노인세대와 타세대 간의 갈등을 조사, 분석하여 미래지향적인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노인과 타세대의 세대갈등 경험과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우리사회에서 노인과 비노인의 세대갈등 현황, 잠재적인 갈등의 내용, 그리고 극복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가. 연구내용 1) 노인의 정의와 인구현황 - 노인을 연령과 속성에 따라 정의 - 노인의 정의와 우리사회의 변화하는 인구구조와의 관계 2) 노인세대 갈등에 대한 개념적 논의 - 세대갈등에 대한 이론과 개념을 소개 - 노인과 관련된 세대갈등의 속성과 현황 3) 노인세대와 타세대 간의 세대갈등 현황 - 우리사회의 노인세대와 비노인세대 간 세대갈등 현황 - 세대별 세대갈등 경험 및 인식 비교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세대갈등 경험과 인식에 따른 집단유형을 도출하고 집단 간 차이 분석 4) 세대갈등 통합을 위한 정책방안 세대 간 갈등을 최소화하고 심각한 갈등은 해소할 수 있도록 국가, 사회, 개인이 할 수 있는 방안 제안

Nowadays, we witness the generational conflict between the old and young. Even though the degree of the current generational conflict is not very strong, it might develop into a serious one in the future. There exist many generational problems; for example, how can the dwindling young population support the rapidly growing old population and how can we negotiate between the problem of the young jobless and that of early retirees. What is most serious is the fact that the young generation is indifferent to the old and the generational problems and therefore ignores the potential danger to its own future.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generational conflicts between the old and young and to provide measures for better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generations. It includes the definition of the old, the exploration of the demographic situati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the generational conflicts, the current status of the generational conflicts and policy suggestions for generational cohesion.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different aspects of generational conflicts in the Korean society. The generational conflicts within the family seem to be determined by familism. On the one hand, familism as a still dominant ideology functions to minimize generational conflict within the family by persuading the adult children taking it as their duty to support their old parents especially economically.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t degrees of familism between generations can cause some conflict; the old tend to expect to receive support from the young more than their children are willing to give. The generational conflict in the cultural field arises both within and without family. The negative image of the old causes ageism which manifests as the young generation’s avoidance or ignorance of the old. The other important cultural aspect of generational conflicts is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of values. The younger they are, the more liberal values they tend to subscribe to concerning marriage, work, gender roles, and political beliefs. There are some latent generational conflicts that might grow to be serious in the future. The pension will pose a serious problem unless the generational distribution starts being discussed. The increasing necessity of the old’s economic activity will conflict with the provision of jobs for the youth. The generational difference concerning the ways of caring the old (whether take care of them at home or at care facilities and by family or by professionals) may also cause conflict. The lack of communication and order between the generations may lead to the serious conflicts in the future. This study proposes the expansion and improvement of the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old, the care service for the old, the service for the carers, and the job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실태조사

Ⅳ. 정책제언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