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본 연구는 국책연구기관의 연구보고서를 대상으로 연구성과 분석기준을 정립하려하였고, 이 기준에 따라 현정부의 공약집 분석을 통해 선정된 8개의 핵심 주제에 대한 국책연구기관의 기본과제연구보고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국책연구기관 기본과제연구보고서의 성격을 명확히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첫째, 20%에도 미치지 못하는 미래정책수요 대비 과제의 비율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본과제임에도 불구하고 이론연구 등 기초연구보다는 정책기여를 위한 정책연구의 비율이 너무 높아 이의 조정이 필요하다. 셋째, 연구기관별 연구자의 일인당 보고서 집필분량의 과도한 차이를 시정하여야 할 것이다. 국책연구기관 연구보고서에 대한 성과분석은 향후 구체적 실천적 정책대안 개발에 충실한 보고서를 생산하도록 독려하는 촉매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현재의 분석기준은 정책대안 위주의 계량적 분석 연구보고서 분석에는 적합하나 정성적 연구 및 기초연구분석에 많은 약점을 갖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Ⅰ. 서 론
Ⅱ. 연구성과분석의 개념 및 분석 기준
Ⅲ. 분석결과
Ⅳ.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