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부산지역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욕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ployment Needs of Career Interrupted Women in Busan

  • 819
107506.jpg

이 연구는 부산지역에 있는 경력단절여성 중에서 취업을 희망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욕구를 조사하고 경력단절여성들의 재취업을 도모할 수 있는 지원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경력단절여성들의 취업욕구에 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이들의 88.9%는 재취업을 원하고 전일제보다는 시간제를 더 선호하였다. 기혼여성이 재취업을 희망하지 않거나 시간제를 더 선호하는 이유를 자녀 양육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미혼 여성의 경우에는 자신의 시간을 갖고 싶어서 시간제 근무를 원한다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력단절여성들의 재취업 선호직종으로는 전문직, 사무직 순으로 높이 나타났다. 경력단절여성들이 취업을 희망하는 이유는 생계유지 및 가계보탬, 자아실현 등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일에 대한 태도 역시 다소 높게 나타난다.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별도의 지원이 필요한 이유는 미혼여성의 경우 정보수집 능력미약, 직업훈련이나 취업과 관련하여 동기부여가 중요하므로 등으로 응답하였다. 기혼여성은 직업훈련이나 취업과 관련하여 동기부여가 중요하므로, 정보수집 능력미약 등 서로 다른 응답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경력단절여성들은 경력개발 및 취업능력 향상을 지원하는 방안으로 훈련-보육-취업의 복지연계 서비스가 가장 필요하고 그 다음으로 자신감이나 적극성을 배울 수 있는 의식교육, 재직여성 직무능력향상 지원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여성은 남성과 달리 자신이 속한 생애주기에 따라 직업과 관련하여 경력단절과 직업복귀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경력이 단절된 여성은 결혼, 출산, 양육, 나이에 대한 편견, 여성의 불안정한 고용 등의 장애요인으로 인해 노동시장의 재진입이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력단절의 문제는 기혼여성만이 아니라 미혼여성에게도 나타난다. 결국 여성의 노동주기에 따른 경력단절 현상에서 일어나는 욕구를 파악하고 이 욕구가 충분히 채워질 때 경력단절여성의 노동할 권리를 보장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곧 여성의 노동권 보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우선 성인지적 관점에서 여성인적자원을 개발해야할 것이다. 한편 부산지역의 특성과 연령.계층.가족상황 등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및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researching working desire on woman wanting job among career interruption women in Busan and through this, provide basic material for searching supporting method to help career interruption women reacquiring job. As a result of this study employment needs of career interruption women, 88.9% of them want to have job and like part time rather than full time. Married women say that the reason they don't want to have job and like part time is children nurturing, so the reason is same to quit the job. But at the case of unmarried women the rate which they want part time job due to having their own time is most high. The job which career interruption women like to have is to work as expert and in office. The reason that career interruption women want to be employed is to maintain living, to contribute household economy and self-realization. And the attitude on work is also somewhat high. Married women replied differently one another such as disability of collecting information and helping selecting suited job because of importance of giving motive related with job training and having job. As I know in these research result, women different from men have career interruption and job returning problem related job according to life cycle they belong to. And career interruption women are difficult to reenter labor market because of obstruction factor such as marriage, delivering, nurturing, bias of age. These career interruption problem is occurred to unmarried women as well as married women. Therefore when I know the desire occurred in the phenomenon of career interruption according to women's labor cycle and this desire is filled, career interruption women's working right is guaranteed. This, therefore, also solve the problem of women's labor right. So most of all I should develop women resource at the respect of gender awareness. While, development, supply and support of various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characteristic of Busan and age, level, family situation is need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분석

Ⅴ.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