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광양읍성의 공간 구조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spacial construction of Kwangyang-Upsung

  • 73

지금의 광양시 광양읍 지역은 조선시대 광양 지역의 읍치였다. 읍치의 중심이었던 광양읍성은 조선시대 읍성가운데 성곽의 안쪽 둘레가 853m 정도에 지나지 않는 소규모읍성이었다. 광영읍성 지역은 일제강점기에 성곽이 철거된 이후에, 급격한 시가지 확산으로 지금은 그 위치를 추정하기조차 어려울 정도로 그 흔적을 찾기가 어렵다. 본 논문은 지역문화의 시각화를 해석 주민들의 가치관 형성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조선후기 광양읍성의 공간구조와 그 변화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통해서 광양읍성의 축조 배경과 과정을 일부나마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면 광양읍성은 기름진 농토를 관리하기 위해 축조되었고, 읍성의 지형적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전통 숲이 함께 조성되었다. 광양읍성은 성문이 3개소로 'T'형 도로망을 갖고 있었고, 도로 개설에 의해 성곽의 훼철이 시작되었다. 광양읍성의 대표적인 경관이었던 전통 숲은 읍성 차폐에서 보안림으로, 그리고 도시공원으로 그 활용이 바뀌었음을 알 수 있었다.

Present region of Kwangyang City town was the Traditional Eup Towns in of Kwangyang in Chosun Era. Kwangyang-Upsung, the core Traditional Eup Towns, was asmall town castle whose inside circumstance was no more than 853m, compared with those in Chosun Era. The region of it is difficult to find the traces which can be assumed as the location these days owing to the rapid urban spreading after the castle was removed during the period of Japan's forced occupation. But the study on the spacial construction and change about the latter period of Chosun come true to form the basis on sence of values on village people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local cultures. On this study, the background of construction and process can be identitied even some paets of them. According to this study, Kwangyany-Upsung was constructed to manage the fertile fame and traditional forest was made together to compensate for the topographcial disadvantage. It consisted of three gates of castle and 'T' type road network. The destruction of the castle was begun by the road building. Traditional forest which had represented Kwangyang-Upsung was turned into erserved forest city park fark from the town castle shelter in use.

Ⅰ. 서론

Ⅱ. 광양의 개관

Ⅲ. 광양읍성의 공간 구조

Ⅳ. 광양읍성의 특징과 변화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