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궁가>는 구토설화에서 파생된 판소리 창본으로 내용 중 醫學記事가 자주 등장한다. 醫學記事는 신재효의 창본정리 과정에서 <수궁가> 전반에 삽입된 것으로 보이는데, 지방관청에 소속된 官藥房을 했던 부친의 영향으로 『東醫寶鑑』과 여러 의서들, 藥器를 쉽게 접할 수 있었던 까닭에 <수궁가> 내에 그 내용을 충분히 실어 넣은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 진행한 <수궁가>의 의학적 분석을 통한 연구는 <수궁가>에서 절반 가까이 차지하는 藥性歌 및 醫學記事의 많은 부분이 한의학 지식과 매우 일치하며, 내용전반에 민간에서 쓸 수 있는 한의학 지식을 바탕에 깔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醫學寶鑑』이 점차 보편화되면서 <수궁가> 속의 醫學記事도 전문성을 더해갔다. <수궁가>에서 도가적 양생사상의 신선술과 주술에 의거한 치료형태를 풍자하고 희화시켰던 양상은, 동시기에 『醫學寶鑑』이 여러 의서를 종합하면서 도가적인 주술이나 미신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체계적이고 임상의학적으로 재정비했다는 점과 맥을 같이한다. 18세기중반 이후로 19~20세기 양반지식층의 애호참여로 유교사상을 재정비하면서 醫學記事가 전문지식의 과시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한편으로는 전문성있는 의학지식을 판소리에 삽입함으로써 판소리에 사실성을 부여하고, 청자들로 하여금 판소리의 현실감을 극대화하는 역할로 작용하였다. 그로인해 <수궁가>내에서 더욱 전문화된 醫學記事들은 이후 판소리, 국문한문소설로 변화되어 보급되었고, 19세기부터는 라디오매체와 음반사의 판소리 취입으로 더욱 보편화되면서 서민들의 입과 귀로 널리 전해졌다. 비록 醫學記事가 서민들에게 의학지식의 보급을 목적으로 작성된 것은 아니었다 하더라도, 의료정책이 미비했던 당시 『醫學寶鑑』을 바탕으로 보완되었던 <수궁가>의 보급은 원래의 목적이상으로 민중들에게 민간의학지식을 파급시키는 역할을 수행했다.
Sugungga is a Pansori[recite a dramatic song] story derived from a tale about a terrapin and a rabbit, and Yakseogga appears in its first part. Sugungga has been handed down through a lineage of singers: Song Heung-Rok, Song Gwang-Rok, Song Woo-Ryong, Ryu Seong-Jun, and Kim, Yeon-Su. Yakseongga completely settled in Sugungga thanks to adaptation of Shin Jae-Hyo, whose medicinal knowledge was mostly from his father, Shin Gwang-Heup, an official pharmacist in a local government office. Between the 17th century and the mid-18th century, Sugungga was evolved from ancient taoistic idea of health to Confucianistic rational subject. This was similar in nature that Korean medicine was overhauled to a more scientific and clinical practice in the same period by putting together diverse medicinal books such as DongeuiBogam, Huangdi Neijung, Hyang-yak Jipseongbang, Euibang Ryuchwi, and Euibang Chalyo, while eliminating elements of taoistic charms or superstit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from the study of oriental medicine, Yakseongga in Sugungga was based on oriental medicinal knowledge, not simple humor. It seems that Yakseongga was heavily influenced by oriental medicinal books such as Huangdi Neijing, Hyang-yak Jipseongbang, Dongeui Bogam, and Jejung Sinpyeon. After the mid-18th century, deconfucianistic Sugungga was modified again. Participation of aristocratic intellectuals from the 19th and 20th Century tarnished lively popularity of Sugungga, while Confucianism was reintroduced and "ostentation of expertise" became more noticeable in Yakseongga. Such trends of pansori became more popular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modern novels as well as radios and phonograph records. Although Yakseongga was not made to teach medicinal knowledge, it performed a role of distributing folk remedies to the public far beyond its original intention when it had been compiled based on Dongeui Bogam and Jejung Sinpyeon.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