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巖 李潑의 學問傾向과 政治活動
Lee Bal(李潑)'s Learning tendency and Political activities -Centering on Liquidation of The relative of the queen' influence in The Political complications of the Dongdang and Seodang Parties-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호남문화연구
- 제46집
- : KCI등재
- 2009.12
- 69 - 103 (35 pages)
선조가 즉위하면서 정국의 주도권을 장악한 사림세력은 잔여 척신세력을 축출하고 을사ㅣ화인의 사면.복권을 적극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자신들의 정치적 기반을 강화하였다. 동시에 이들은 각자의 정치론을 앞세워 척신정치를 대체할 새로운 정치질서를 모색하였다. 동서분당을 전후하여 구체제의 혁신=척신정치 청산의 방안은 위사공신 삭훈과 외척 심의겸의 정치적 배제, 이렇게 크게 두 가지 방안으로 전개되었다. 삭훈과 심의겸을 둘러싼 논쟁과 갈등은 모두 사림 내부에서 척신정치의 청산이라는 시대적 과제에 부응하는 방안으로서 제기되고 있었다고 할 수 있었다. 위사공신 삭훈과 외척의 정치 간여 배제는 모두 사림 정치의 근간을 이루는 淸論으로서 구체제의 혁신에 공감하는 사림이라면 어느 누구도 드러내놓고 반대할 수 없는 명분을 지니고 있었다. 다만 서로 간에 중시하는 쟁점과 정치적 지향의 차이가 내포됨에 따라 척신정치 청산의 방안을 달리하고 있었을 뿐이다. 요컨대 논쟁의 쟁점과 본질은 척신체제를 근본적으로 부정하느냐 부정하지 않느냐의 문제라기보다는 정국운영의 주도권과 방안을 서로 달리한 정치론의 대립이었다고 할 수 있다. 삭훈의 문제는 이이를 필두로 한 서인에 의해 주도되었고 외척의 정치간여 배제는 이발을 필두로 한 동인에 의해 주도되었다. 東巖 李潑(1544~1589)은 서경덕.조식의 학풍을 견지하는 가운데 치열하게 시대적 과제를 고민하고 政論을 주도하고 실천 방안을 모색하였던 官人儒者였다. 그는 척신정치의 근원적 청산을 강경하게 고수하는 東人의 입장에서 정철, 이이를 필두로 한 서인과 대립하였다. 심의겸을 둘러싼 상반된 평가가 동인과 서인이라는 당파 간 대립과 갈등으로 확대되어 간 것은 척신으로서의 기반과 사림으로서의 정체성이 함께 혼재되어 있는 심의겸의 이중적 면모 때문이기도 하였지만 양자 간 서로 다른 정치적 지향에 기인하는 바가 보다 근본적인 원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삭훈문제에 소극적인 대신 외척으로서 심의겸의 행태를 적극적으로 문제 삼은 이발 등 동인의 정치적 지향은 신하들의 삭훈 요구를 기꺼이 받아들임으로써 도덕수양을 솔선수범하고 이를 신하들에게 검증받는 군주상이 아니었다. 정치적 주체로서 군주의 위상을 고려하는 가운데 외척의 정치 干與를 근본에서 제어함으로써 군주권과 국가권력의 주도권을 투명하게 提高하는 것이었다. 이는 곧 군주의 위상과 권위가 손상될 수 있는 상황을 최소한도로 줄이면서 동시에 정치에 대한 주도권과 결정권을 최종적으로 군주에게 귀속시킨다는 의도를 내포하는 정치론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이이를 위시한 서인에게 을사사화의 爲勳 삭제는 國是의 문제이자 의리명분의 문제로서 도덕의 표준을 세우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 하는 군주가 누구보다도 솔선수범하여 받아들여야 할 사안이었다. 척신정치의 근본적인 청산은 군주가 위훈을 삭제함으로써 治道의 근본이라 할 正名을 바로 세우고 군주.公家의 도덕적 본체를 회복 할 때 비로소 가능하다는 것이 이이 등의 생각이었다.
The division between the Dongdang Party and Seodang Party and the making of the two factions(1575) are accepted as a turning point in the political history of the Chosun dynasty. The conflicts, that had involved issues such as the liquidation of The relative of the queen, Shim Eui-Geyom(沈義謙)‘ influence, or 'removing' the 'Wisa/衞社’ Meritorious Retainer titles from certain figures, have generally been understood as a certain kind of generational clash between the Dongdang and Seodang Parties. Lee Bal(李潑) who was later labelled as Dongin members was aginst shim Eui-Geyom(沈義謙). Shim was a relative of the queen but didn't behave like an autocratic lord. but, Shin depended on the relativity of the royal family in order to reform the rotten bureaucracy. This action was hated by the young literati, Dongin like Lee Bal(李潑) and Shim was accepted as a factional leader by the them. Lee Bal(李潑) was pursuing the reinforcement of the King's authority and tried to utilize that ruling force in subduing the leading class' extraction of the general public and also their illegal deeds. But Lee Yi(李珥) who were later labelled as Seoin members did think that Shim Eui-Geyom(沈義謙) is also Sarim because Shim protected the new literati from the oppression in the later perion of king MyeongJong. Lee Yi(李珥)'s issue was removing the Wisa title, which would have all yndoubtedly played integral roles in the proceedings of these controversies. He was considering the protection of the Yangban ruling class' interest to be the utmost priority as in their opinions such Yangban figures were in the very position to produce and maintain a high level of Sarim politics based upon generally fair public consensus. Their political positions were immensely different, so it was not a strange thing for them to clash in such controversies that were mentioned above.
Ⅰ. 서론
Ⅱ. 李潑의 생애와 학문경향
Ⅲ. 李潑의 정치 활동 -戚臣政治의 청산과 君主의 位相 강화-
Ⅳ. 척신정치의 청산을 둘러싼 東人과 西人의 정치적 지향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