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1997년도에 발생한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특히 회계의 투명성을 확보하고자 다양한 법과 제도를 정비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의 개정과 ‘내부회계 관리제도 모범규준’의 제정으로 기업에게 요구되는 내부통제제도, 특히 내부회계관리제도의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는 것이다. 또하나 그동안 국내 기업의 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도입된 제도로 인하나 최근의 연구동향을 통해 회계관리제도를 포함한 기업의 지배구조가 회계정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우리나라는 2003년 말 이후 일련의 ‘회계제도개혁법’을 제정하였다. 이 개혁법의 내용은 증권관련 집단소송법(2004. 1. 20.)의 제정과 증권거래법(2003. 12. 31.), 외감법(2003. 12. 11) 및 공인회계사법(2003. 12. 11.)의 개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2005년 6월 23일에는 외감법의 개정으로 강제화된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과 평가를 위한 ‘내부회계관리제도 모범규준’(이하 모범규준이라고 한다)이 제정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시도로 얻어진 고무적인 효과는 지배구조의 개선을 통하여 기업운영의 투명성, 특히 회계의 투명성이 강화되는 결과를 낳았다. 모범규준에 의하면 2005년 4월 이후 개시되는 상장 및 등록법인 및 500억원 이상 외부감사법인은 회계감사와 더불어 내부회계관리제도의 구축 여부 및 운영상태에 대하여 검토를 받게 되며, 2007년 7월 이후에는 모든 외부감사대상법인이 본 제도의 범주 안에 속하게 된다 (외감법 시행령 제 2조의 2). 따라서 모범규준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숙지하고 이를 기업에 도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I. 서 론
II. 내부통제제도와 내부회계관리제도
III. 미국의 내부회계관리제도
IV. 우리나라의 내부회계관리제도 도입 현황
V.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