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원 여성의 학습참여 동기와 저해요인

Motivating and Inhibiting Factors in Women`s Postgraduate Learning

  • 720

본 연구는 일을 하면서 대학원에 다니고 있는 여성학습자들의 학습참여 동기와 저해요인을 분석하여 이들이 대학원에서 성공적으로 학습하고 사회에 참여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일을 하면서 대학원에 다니고 있는 여성학습자 2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빈도분석, t 검정과 일원분산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첫째, 여성학습자의 다양한 개인배경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여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평생교육기관으로서 대학원의 변화와 발전이 필요하다. 특히 대학원 여성은 일에 대한 애착이 강하고 일을 통해 능력을 발휘하여 성공하고자 하는 욕구가 높게 나타났으므로 일과 연계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학습이 이루어져야 하다. 둘째, 대학원 여성학습자의 학업중단 경험은 자녀유무, 자녀연령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가정, 기업, 지역 사회 등을 중심으로 인식되어 왔던 자녀양육 문제에 대해 학교차원에서도 제도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factors motivate and inhibit working women`s learning in postgraduate programs, and in so doing, to generate meaningful findings that could help these women learn and participate in society more fully and successfully. To this end, research questions regarding the motivating and inhibiting factors of learning were formulated and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18 women who work and study in postgraduate programs at the same time.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using the SPSS 12.OK for Window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raduate schools need to evolve into professional, systematic institutions of higher adult education that reflect and absorb the diverse backgrounds,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these women students. Second, postgraduate schools themselves need to accommodate systematically women`s need for childcar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