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동향과 전망

A Trend and Prospect of Strategic Human Resources Development

  • 1,812

우리나라의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연구는 그 중요성과 국제적 동향에 비추어 아직은 그리 활성화되어 있지 못하다. 인적자원개발과 관련하여 NHRD, RHRD, GHRD, MHRD 등과 같은 다양한 신조어들이 난무하고 있지만, 정작 이러한 용어들의 공통분모로서 전략적 인적자원개발(SHRD)에 대한 논의는 보이지 않고 있다. 지금은 인적자원개발의 열정만큼이나 냉정한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을 논할 때이며, 인적자원개발기본법 개정에 따른 국가인적자원위원회와 인적자원정책본부 구성 및 운영이란 큰 그림을 그려야 할 현 시점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논의는 더 없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은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이기에 앞서 전략적 의미를 더한 인적자원개발의 진화일 수 있다. 따라서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논의는 개념의 특성론적 접근을 넘어서 인적자원개발의 진화서 면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모델 동향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한다. 인적자원개발의 진화론적 성숙을 논하는 가운데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이 나와야 하며, 그러한 전략적 인적자원의 안목을 갖고서 우리의 인적자원개발정책을 진단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과 목적을 토대로 전략적 인적자원개발과 관련한 몇가지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Compared to its importance and international trends, studies on Korea`s SHRD(Strategic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re not being actively made yet. There are many neologisms related with HRD like NHRD, RHRD, GHRD and MHRD. However, discussions about SHRD, a common denominator of these neologisms, are not being made. It`s time to discuss about calm SHRD as much as passionate SHRD. To discuss about SHRD is very important to us at this time when the National HR Committee and Office for HR Policies should be organiz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amendment of the basic HRD law. SHRD can be the development of HRD in which a strategic meaning is included, before it is the conversion into a new paradigm. Consequently, we should discuss about trends of SHRD models from an aspect of HRD`s evolutionary history, beyond the trait approach to its concept. While the evolutionary maturity of HRD is being discussed, SHRD should be made. And we should diagnose our HRD policies with a view of such SHRD. This study aims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related with SHRD based on such a critical mind and objective.

I.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맥락적 문제 인식

II. 전략적 인적자원개발 동향에 대한 진화론적 이해

III.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정책적 시사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