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미국 기독교계의 친 유대 운동의 신학적 배경과 정치적 배경을 분석하는 것이다. 지난 이십여 년 간 미국 보수 기독교계는 국내 외 정치에 대해 소극적이었던 기존의 태도를 버리고,적극적으로 정치에 개입함으로써 그들의 종교적 신념을 정치적 목소리로 표현하기 시작하였다. 미국교계의 친 유대주의는 이 같은 목소리가 표방하는 가치관의 하나이다. 친유대주의 운동은 미국의 국익과 안보 등 현실적인 동기와 성경을 배경으로한 신학적 동기가 뒤섞이면서 복합적 성격을 띤 정치,종교적 운동으로 발전한다. 이 같은 움직임은 2001년 9월 11일을 기점으로 시작된 테러와의 전쟁 과 함께 절정에 이르게 되는데, 친 유대주의 운동의 최전선에는 근본주의적 기독교를 중심으로 형성된 기독교 시온주의가 있었다.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국교계의 친유대주의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서 기독교 시온주의를 지탱하고 있는 신학적 배경과 정치적 특징을 분석한다. 9/11사건은 이차세계대전 직후 전승국인 미국의 지원을 받은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 지역에 이스라엘을 건국함과 시작된 유대인과 이슬람교도 간의 영토 분쟁이 미국 본토까지 확대된 사건으로 볼 수 있다.그러나 미국의 보수적 기독교계는 이 사건을 단지 미국의 국가안보나, 정치, 경제적 이해관계를 넘어 신학적 패러다임으로 해석하기 시작했다. 미국과 이스라엘이 급진주의적 이슬람이라는 공동의 적을 가지면서, 그들 중 일부는 이 사건을 성서를 기초로 한 유대기독교적 문명과 이와 대립하는 아랍 문명의 충돌로 해석하는가 하면, 존 해기를 위시한 몇몇 보수 기독교계 지도자들은 이를 요한 계시록에 예언된 아마겟돈의 서막으로 간주하기에 이른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교계의 친 유대 운동이 탄생하게 된 역사적,신학적 배경을 밝히기 위해 유대인 집단학살로 절정에 이른 서구의 반유대주의의 신학적, 역사적 배경을 먼저 간략하게 검토하고,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전후 미국을 중심으로 발흥하게 된 친 유대 운동의 성격을 신학적 측면과 정치적 측면에서 조명한다. 논문의 본론은 세 장으로 구성되었는데, 첫 장에서는 서구 기독교계의 반유대주의의 신학적, 역사적 배경을 다루었고, 그 다음 장에서는 미국의 친 유대주의 운동의 신학적, 정치적 동기를 기독교 시온주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마지막 장에서는 미국기독교계의 친 유대 운동의 문제점과 미래를 조망하였다.
I. Introduction
II. Anti-Semitism: Its Theolog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III. Pro-Semitism: Its Theological and Political Motives
IV. The Dilemma of Christian Zio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