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What if Morphology and Semantics Conflict in Russian?

107525.jpg

본 논고는 특정 명사 부류의 의미적 부분과 문법적 부분이 상충될 때 발생하는 형태의미론적 대립 문제를 어휘의 명사적 자질을 바탕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일부 명사들은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문법적으로 올바르게 사용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명사가 문장 내에서 어떻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여 체계적으로 설명하려 한다. 정확한 이해를 위하여 최소 어휘체계(Minimal Lexemic Representation, MLR)를 사용하여 이론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최소 어휘체계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왼쪽은 의미적-지시적 자질(R-features)을, 오른쪽은 문법적-형식적 자질(F-features)을 나타낸다. 의미-지시적 자질은 어휘 의미에 의하여 자질이 결정되고, 문법적-형식적 자질은 어휘 의미 또는 음성학적 실현(spell-out)과 관련하여 정해진다. 의미적 자질로는 [동물:+/-], [성별(sex):남/녀], [개수(cardinality):단/복]가 있으며, 반면에 형식적 자질로는 [명사변화형: Im/n, II, IIIa/b/c, IV], [활성체:+/-], [성(gender):남/여/중], [수(number):단/복], [격:주격]이 있다. 서로 다른 짝의 자질들은 서로 상호 작용하여 최선의 결과를 도출해 낸다. 문법적 자질인 [성(gender)]은 명사의 형태나 변화 형태뿐만 아니라 [성별(sex):]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명사의 성은 어휘적 성(Lexemic gender)과 지시적 성(Index gender)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구분은 주어-서술어 일치(Subject-Predicate Agreement)와 형용사-명사일치(Concord)를 설명해 준다. 최소 어휘체계에서 [격] 자질은 완전한 통사적 자질이며, 다른 명사적 자질들은 어휘 의미에 따라 결정되는 종속적 자질들이다. 본고에서는 형태-의미론적 대립을 보이는 명사들로 i) 통성명사, ii) 어미 –a를 가진 남성명사, iii) 직업이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명사 부류, 예를 들어, врач, социолог, преподаватель, космонавт, профессор, 등과 같은 명사들을 분석해 본다. 개별 단어로는 iv) подмастерье '견습공', v) домище '큰 집' vi) домишко '작은 집'을 최소 어휘체계를 이용하여 분석해 본다. 또한 접미사가 붙은 명사의 일부로 vi) мальчишка 와 vii) 복수로만 사용되는 명사(Plurality Tantum Noun, PT noun)들을 최소 어휘체계를 토대로 의미적 자질과 문법적 자질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분석 조사해 본다.

Ⅰ. Introduction

Ⅱ.Theoretical Background

Ⅲ. Nouns with morphosemantic conflicts in CSR

Ⅳ. Conclusion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