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대회자료

외환위기 전후 이익조정 행태 변화에 따른 회계이익의 정보효과 차이

Is the Decrease of Earnings Informativeness associated with the Change in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between Pre- and Post-Financial Crisis?

  • 153
커버이미지 없음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 연구는 외환위기 이후 회계이익의 정보효과가 감소한 원인을 외환위기 전후 기업들의 이익조정 행태 변화에서 찾아 보고자 시도하였다. 우리나라는 외환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회계규정이 대폭 강화되었을 뿐 아니라 감사인의 부도와 감사인을 대상으로 한 소송 등으로 인해 감사인의 위험 또한 현실화되었다. 여기에 더해 미국에서도 2000년대 초반 대규모 회계부정의 여파로 SOX(Sarbanes-Oxley Act)가 제정되었고, 우리나라 역시 기업의 공시서류에 대한 CEO 등의 인증이 의무화되어 회계규제는 한층 강화되었다. 실증 연구 역시 이와 일관되게 재량적발생액이 감소되었다는 사실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현실과는 달리 시장 반응을 살펴 본 국내의 선행연구들은, 외환위기 이후 회계이익의 정보효과가 오히려 감소한 사실을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불일치가 발생한 원인을 두 가지 관점에서 제시하고 이를 실증 분석하였다. 첫째, 이익조정의 크기를 재량적발생액이 아닌 재량적발생액의 절대값으로 측정할 것을 제안한다. 재량적발생액의 크기가 감소한 것은 상향의 이익조정 크기가 감소한 경우 뿐 아니라, 하향의 이익조정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측정오차의 문제가 개입될 수 있다. 둘째, 발생액 이익조정 뿐 아니라 실제 이익조정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외환위기 등으로 인해 회계규정이 강화된 상황에서, 경영자는 발생액 이익조정의 대체적인 수단인 실제 이익조정을 적극 활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이익조정의 크기가 증가한 경우 회계이익의 정보효과는 감소될 것이다.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익반응계수로 측정한 회계이익의 정보효과는 외환위기 이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외환위기 이후 재량적발생액의 절대값의 크기가 유의하게 달라졌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없었다. 셋째, 실제 이익조정의 크기는 외환위기 이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외환위기 이후 강화된 회계규제와 감사인의 소송위험 증가 등으로 인하여 기업들이 발생액 이익조정은 자제하지만, 비정상적 경영 활동 등 실제 이익조정을 적극 행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회계이익의 정보효과가 감소한 원인이 실제 이익조정의 증가에서 비롯되었다는 사실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 사이에 존재하던 회계이익의 질과 시장 반응 사이의 모순을, 실제 이익조정을 추가 고려함으로써 일부 해소하였다는 데 의의를 지니고 있다.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가설 수립

Ⅲ. 연구 방법 및 데이터

Ⅳ. 실증 분석

Ⅴ.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