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은 민중의 삶과 문화를 표현한다. 속담은 민중의 전통, 도덕, 신념 등을 반영할 뿐 아니라 다양한 시기를 통해 발전된 인간 사회의 경험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속담에는 당연히 그 나라 사람들의 삶의 모습과 사고방식 등이 잘 나타나 있게 마련이다. 이런 의미에서 속담과 명언은 문화적 표현의 일부가 된다. 특히, 아랍인들은 조상으로부터 막대한 양의 속담을 유산으로 물려받았다. 또한 아랍인들은 속담을 매우 좋아하고 즐겨 사용하여, 속담은 그들의 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아랍어 속담은 아랍문화의 매우 중요한 양상을 나타내며, 특히 중요한 아랍어 구전 문화로 간주된다. 이는 아랍어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길 원하는 외국인 아랍어 학습자가 아랍어 속담을 학습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한국인 아랍어 학습자가 아랍인들과 보다 원활하고 친밀한 의사소통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아랍어 속담을 교수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먼저, 문헌 검토를 통해서 아랍어 속담 교육이 한국인 학습자들에게 아랍어의 비밀에 접근할 수 있는 진입로를 제공하고, 아랍 사회의 역사, 사상, 도덕, 원칙에 대한 지식을 제공할 뿐 아니라 아랍어 속담의 간결성과 리듬성이 아랍어에 대한 친밀도를 배가함으로써 아랍어 학습효과를 배가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한국인 아랍어 학습자를 위한 아랍어 속담 선정 방법으로 주관적 방법과 객관적 방법을 절충하는 경험적 방법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아랍어 속담 선정의 기준으로는 속담의 사용빈도, 은유적 명확성, 최소한의 난이도, 모국어와의 유사성 혹은 관계성, 학습자의 학습 단계 및 연령, 학습 목표 및 교육 목표 등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급단계와 고급단계 아랍어 교실에 아랍어 속담을 교수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적용 사례들을 제안했다.
〈국문초록〉
اﻟﻤﻘﺪﻡﺔ .Ⅰ
اﻷﻡﺜﺎل اﻟﻌﺮﺑﻴﺔ ﻓﻲ ﻓﺼﻮل اﻟﻠﻐﺔ اﻟﻌﺮﺑﻴﺔ ﻟﻠﻜﻮرﻳﻴﻦ .Ⅱ
ﻃﺮاﺋﻖ وﻡﻌﺎﻳﻴﺮ اﺧﺘﻴﺎر اﻷﻡﺜﺎل اﻟﻌﺮﺑﻴﺔ اﻟﺨﺎﺹّﺔ ﺑﺎﻟﺘﺪرﻳﺲ .Ⅲ
ﻃﺮاﺋﻖ ﺗﺪرﻳﺲ اﻷاﻡﺜﺎل اﻟﻌﺮﺑﻴﺔ ﻓﻲ ﻓﺼﻮل اﻟﻠﻐﺔ اﻟﻌﺮﺑﻴﺔ .Ⅳ
اﻟﺨﺎﺗﻤﺔ .Ⅴ
اﻟﻤﺮاﺝﻊ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