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합스부르크 제국의 영향과 크로아티아의 문화적 자기 이해

An Influence of the Habsburg Empire and the Cultural Identification of Croatia

  • 160
107846.jpg

본 연구는 18세기부터 민족주의 시대로 접어드는 19세기 전반기 부분 특히 1847년 파리 혁명 발생 전후시기를 중심으로, 합스부르크 제국 시기 동안 크로아티아인들이 어떻게 자신들의 민족 문화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고, 문화적 자기 이해를 구축해 갔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본 글의 구성을 보면 우선 제 2장에서는 18세기 합스부르크 제국의 계몽적 전제주의 하에서 크로아티아의 정치, 경제적 상황에 대해 설명하게 될 것이다. 제 3장에서는 1789년 프랑스 대혁명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러한 대혁명이 크로아티아의 민족 정체성의 구체화와 민족주의 수립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게 될 것이다. 제 4장에서는 19세기 민족주의 시대에 접어든 크로아티아에서의 문화적 자기 이해와 민족 통합 과정을 살펴보고, 그 일환으로 시작한 언어 개혁과 통합 운동에 바탕을 둔 일리리아 운동의 전개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제 4장에서는 합스부르크 제국의 지배 하에서 크로아티아인들의 민족 문화 정체성과 문화적 자기 이해를 확립하기 위한 노력의 결실들과 그 의미들을 언급함으로써 결론을 대신하고자 한다.

The Croats were under the influence and control of Habsburg Empire for about 400 years from the 15C to 1867(the formation of the Austria-Hungary empire). So, social, cultural, political and economic remnants of the Habsburg Empire remains in Croatia to the present. With this view point, in this paper, I analyze about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Croat’s national identity and cultural identification under the Habsburg Empire, especially with focused on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8C to the first half of the 19C which was the period of Nationalism. In the chapter Ⅱ, I analyze how was the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of Croatia under the period of Habsburg’s Enlargement. In the chapter Ⅲ, I study about the meaning and consequences of the French Revolution in the making national identity and nationalism of Croatia. In the chapter Ⅳ, I study about the process of formation of nations and establishment of cultural identification in Croatia, especially focused on the Ilyrian movement which had meaning of the reform and unity of Croatian language. Finally, in the chapter Ⅴ, I summarize once more how much Croats tried to establish one’s own national identity and cultural identification under the period of Habsburg Empire, and which meaning have this paper in study about modern history of the Croatia.

〈국문 개요〉

1. 서론

Ⅱ. 계몽적 전제주의 하에서의 크로아티아의 정치, 경제적 상황

Ⅲ. 프랑스 대혁명(1789)과 민족주의 시대로의 전환

Ⅳ. 근대화의 시작과 일리리아 운동 그리고 크로아티아의 문화적 자기 이해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