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7949.jpg
KCI등재 학술저널

由北宋儒家天人合一看環境倫理困境

A Justification of Holistic Unity of Man and Nature From Song Confucians and Its Implications for Environmental Ethics

  • 50

북송유학자 장재(張載), 명도(明道), 이천(伊川)은 학설전환기에서 유가사상의 계승자 및 전개자이며, 당대 환경보호 문제의 해결에 응용하는 것으로, 북송유학자의 "천인합일(天人合一)" 관점과 그 외에 "천인불합일(天人不合一)" 학자의 관점의 차이점이 돌출적으로 나타나며, 이 두 개의 다른 해결책은 각자 직면해야 하는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전통유가 의 "인간을 천지(天地)와 서로 합 한 부분으로 보는" 학자의 당면한 환경보호 문제의 해결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나타난다. 이미 천인합일을 했기 때문에, 어떤 환경보호라도 우리가 지금 할 수 없으니, “지행분리(知行分離)”의 문제가 있는가, 없는가? 그 외에 "인간을 천지와 서로 합한다고 보지 않는" 학자에게 나타나는 해결해야 할 문제는, 인간을 자연 밖에서 분리된 종으로, 인간이 어떻게 학습하며 자연과 서로 기거하는가, 자연과 어떻게 화해관계를 건립하는가, 일방적 소망의 망상에 빠지지 않을까? 이와 같이 두 개의 관점은 소통할 방법이 없는 관점처럼 보이지만, 오히려 "자연지천(自然之天)"과 "도덕천(道德天)"에 대한 유가내부에 유래한 전적(典籍)의 구분은 천인합일(天人合一) 사상 중 "일(一)"의 정의(定義)는 이 둘의 문제해결을 위해 하나로 조화시키려 하면서 반복적으로 넘나든다. 아울러 또 나아가, 유가 학자는 전통적 사명을 잇는 동시에 당면한 환경보호의 의제를 또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北宋儒者張載、明道、伊川就學說轉換上是儒家思想的繼承與 開展者,應用於當代環境保護問題的解決上,突顯出北宋儒者「 天人合一」的觀點與另外「天人不合一」學者觀點上的分歧,而出 現兩種不同解決所需面對的困境。傳統儒家「把人看做與天地相 合的一份子」的學者,其表現出來在面對環境保護問題的解決困 境為:既然天人合一,為何環境保護我們現今做不到,是否有「 知行分離」的問題?另有「不將人視為與天地相合」的學者表現出 來的解決困境為:人作為自然之外的類別,人如何學習與自然 相處?與自然建立和諧關係?是否會落入一廂情願的妄想。 如此兩個看似無法溝通的觀點,卻可以藉由儒家內部對於「自然 天」與「道德天」的區分,與天人合一思想中「一」的定義,回過頭 來把這兩個解決困境做一個調合。並更進一步說明儒家學者在 承接傳統使命的同時,面對環境保護議題還能如何做。 We have two positions with regard to our relationship with Nature. Either we are an integral part of Nature or we are separated. They post for us the dilemma that while we recognize our unity with nature but could not protect our environment as it implies. Is there a separation of knowing and doing, so that we fail? Is it just idealistic to establish a harmonious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 We seem to have a dilemma of living harmoniously and flourishing with nature. The heir of Confucianism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the holists, shares a universal holistic view of man and Nature. In contrast to those claiming the separation of human species from all other living thinks, the separatists, Song Confucians provide an argument and justification for the unity and distinction of human being with Nature. The Song Confucians draw the distinction between the Heaven (kingdom) of Nature and the Heaven (kingdom) of Morality and the defining feature of unity in the thesis of unity of man and nature. The two intermingled into one when it come to our praxis in real live situations. It provides the key for the solution of our dilemma. In this paper, I would draw some further implications on how we could make better solutions and actions for the present day environmental issues.

前言

一、儒家思想是生態中心主義或是人類中心主義

二、自然天與道德天的區分

三、儒家思想中天人合一「一」的定義

四、環境保護的解決方式與困境

五、結論

參考書目

서론

1. 유가(儒家)사상은 생태중심주의(生態中心主義)이나 인류중심주의(人類中心主義)이다.

2. 자연천(自然天)과 도덕천(道德天)의 구분

3. 유가사상 중의 천인합일 "일(一)"의 정의(定義)

4. 환경보호의 해결방식과 문제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