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K-IFRS의 도입이 대손충당금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the K-IFRS Introduction on Allowance for Bad Debts: A case study on mutual savings banks

  • 512
107933.jpg

본 연구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과 종전 기업회계기준(K-GAAP)의 차이에 따른 상호저축은행의 대손충당금에 대한 회계기준 변경 효과를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본다. K-GAAP에 의하면 회수가 불확실한 채권에 대하여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산출한 대손추산액을 대손충당금으로 설정하고 있는데, 이와 함께 금융감독원이 규정한 상호저축은행 감독업무 시행세칙에 의거하여 채권을 자산건전성 분류기준에 따라 정상, 요주의, 고정 등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해 일정 비율을 적용한 최저 적립액을 고려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장된 상호저축은행에 2011년부터 적용될 K-IFRS에서 금융자산의 손상(impairment)은 앞으로 예상되는 손실이 아니라 이미 발생했다는 객관적인 증거에 근거하여 대손충당금을 산정하도록 규정한 발생주의모델을 적용하고 있다. 개별적으로 중요한 금융자산은 우선적으로 손상발생의 객관적 증거가 있는지 개별적으로 검토하여 개별충당금 산정절차를 따르며, 그 외의 금융자산의 경우 집합적으로 손상여부를 검토하여 집합충당금을 산정한다. 본 연구의 사례분석 시 K-IFRS에 의한 대손충당금 설정에서 개별평가에 의한 대손충당금의 산출은 신용대출의 경우 영업현금흐름법에 따라 미래현금흐름을 추정하여 현재가치로 할인하여 산출하였으며, 담보대출의 경우 담보가치처분법으로 미래현금흐름을 추정하여 현재가치로 할인하여 산출하였다. 그리고 집합평가에 의한 대손충당금 산출은 바젤기준에 의한 기대손실모형에 발생주의를 적용하여 유사 신용위험 집합별로 산정하였다. B상호저축은행이 K-IFRS를 적용하여 대손충당금을 산정한 결과 K-GAAP을 적용한 경우보다 전체적으로 60% 이상 대손충당금 금액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상호저축은행의 경우 영세 서민층을 대상으로 대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PF 대출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시중 은행보다는 그 위험성이 큰 것을 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하는 경우 반영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의 사례분석 결과는 현행 K-IFRS에 따른 상호저축은행의 대손충당금 산정 방식을 실무적으로 접근하여 제시한 최초의 연구라는 시사점이 있다. 특히 대손충당금의 경우 상호저축은행의 재무제표 전체적인 관점에서 상당히 중요한 금액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사례 분석을 통한 대손충당금의 적절한 산정방법의 논의는 계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n the impacts of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K-IFRS) and the previous Korea-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K-GAAP) on changes to the accounting standards for allowance for bad debts at mutual savings banks. K-GAAP defines allowance for bad debts with estimated uncollectible account for bonds whose collection is uncertain according to rational and objective criteria, categorizes bonds into the normal, cautionary, and fixed category according to the asset quality criteria based on the detailed rules for the supervisory operations of mutual savings banks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Board, and demands for the consideration of minimum reserves for each category by applying a certain percentage. The K-IFRS to be applied to listed mutual savings banks starting in 2011 adopts the accrual basis model, which estimates allowance for bad debts based on objective evidence for actual impairment to financial assets instead of predicted impairment. While individually important reserves follow an estimation procedure for individual reserves by individually reviewing whether there is objective evidence for impairment, the other financial assets are subject to collective reserves by reviewing whether there was impairment in a collective manner. When estimating allowance for bad debts according to individual reviews based on K-IFRS in the case study, the investigator estimated credit loan by estimating a future cash flow according to the Operating Cash Flow Act and discounting it with the current value and mortgage loan by estimating a future cash flow according to the Collateral Value Management Act and discounting it with the current value. In case of B Mutual Savings Bank, its estimated allowance for bad debts increased by more than 60% when K-IFRS was applied compared to when K-GAAP was applied, which result shows that the K-IFRS reflects the fact that mutual savings banks give loans to common people with small assets, have a relatively bigger percentage of PF loans, and thus are faced with a greater risk than nationwide banks. Those findings offer implications as to whether it is valid to apply K-IFRS to mutual savings banks that have nothing to do with international affairs. We need to discuss allowance for bad debt continually with case study because this amount is very important in respect of mutual savings banks financial statement.

< 요 약 >

<ABSTRACT>

Ⅰ. 서 론

Ⅱ. 상호저축은행의 현황 및 대손충당금에 관한 규정 비교

Ⅲ. K-IFRS하의 대손충당금 산출 방안 및 사례연구

Ⅳ. 결 론

참 고 문 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