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공 윤주일은 개항기에 태어나, 일제강점기, 해방과 이에 따른 혼란한 정국, 그리고 한국전쟁 등, 우리 민족의 격변기를 살다간 선각자다. 그는 학창시절에 한용운과 백용성으로부터 불교를 수학하고, 이들의 민족주의와 불교개혁사상을 계승하여, 불법으로 도탄에 빠진민족을 구원하기 위해 한 생을 바쳤다.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을 하면서 평양에서 교육사업을 통해 민중을 계몽했고, 해방 후에는 서울에서 승려와 신도를 지도하다가, 한국전쟁 중에 광주에 정착하여 여생을 호남불교를 위해 헌신했다. 현공이 남긴 저술이나 그의 행적으로 볼 때, 그는 당대의 불교계의 누구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그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부족했다. 최근 현공의 유고에 대한 정리와 사상에 대한 조명이 이루어진 것은, 때늦은 감이 있지만, 매우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자료의 미비로 인하여 가장 중요한 그의 행장이 제대로 정리되지 못하였기에, 필자는 최근에 입수한 현공의 자필 이력서를 근간으로 그의 행장을 비교적 정확하게 정리하였다. 그리고 현공 의 제자 대부분이 필자와 친분이 있기 때문에 현공이 호남불교에 끼친 영향도 사실과 다름없이 정리했다.
Hyunkong Yun Jooil who studied Buddhism under Han Yongwoon(한용운) and Baik Yongseong(백용성), and inherited their nationalism and the Renewed Buddhism spent his whole life to saving the Korean people in despair by means of Buddhism. During the Japanese rule, while joining Anti-Japanese Movement, he devoted himself to enlightening the people by way of education.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he educated nuns and believers, and settled in Gwangju during the Korean War, and devoted his life to renewing the Honam Boddhism. Considering his books and career, he was definitely one of the highest Buddhist scholars. Nevertheless, there has not been enough interest and research paid on him. It is fortunate that his posthumous literature has been compilated, and his thinking reexamined. However, the literature on his personal history has not been fully compilated for a while. Thanks to his vita of his own writing recently found, his personal history was recorded fairly correctly. And since I have been close to most of Hyunkong's disciples, I also could record Hyungkong's influence on Honam Buddhism quite correctly.
【국문초록】
Ⅰ. 서언
Ⅱ. 현공 윤주일의 생애
Ⅲ. 현공 윤주일과 호남불교
Ⅳ. 결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