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7975.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인상주의의 향토적 소재와 색채

Indigenous Materials and Color of Impressionism in Korea-With Focus on Lee In-Sung and Oh Chi-Ho in the 1930s

  • 137

1930년대의 서양화단은 일제 식민기간 중 가장 활발한 그룹 활동과 진보적인 조형사상이 대두된다. 이때 화단에서 가장 주목을 끄는점은 인상주의가 우리의 여건에 걸맞게 접목을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인상주의의 토착화와 함께 향토색을 통한 고유정서의 재발견이라는 자각을 통해 민족 고유의 미감을 확인하려는 움직임이 싹튼 것이다. 따라서 일본에서 이식된 서양화에 대한 비판과 성찰이 시도되면서 한국 인상주의는 향토적 소재와 색채에 대한 담론으로 미술단체에 의해 형성되고 분화한다. 본 연구는 한국근대미술에 있어서 향토성을 기반으로 인상주의 화풍을 형성한 오지호, 이인성의 회화에 나타난 향토적 소재와 색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한국 인상주의를 추구했던 1930년대의 이인성과 오지호는 일본을 통해 유입된 서양의 근대 회화 양식을 수용하고 모색하는 과정에서 한국적인 정서, 색채, 소재를 통한 향토성을 추구하였으며 이의 토착화를 시도하였다. 비록 민족이 처한 역사적・사회적 관계가 배제되어 있다 하더라도 식민지 시대 인상주의 화풍으로 색과 형을 추구한 향토성의 구현은 이인성과 오지호에 의해 조선의 풍경과 색채를 담고자 했던 노력의 토대위에 만들어진 산물임이 분명하다. 따라서 향토적 소재와 색채를 통해서 서구의 정서와 다른 우리들만의 고유정서와 그에 따른 회화가 엄연히 존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Western painting circles in the 1930s, the most active group activities and progressive formative thoughts came to the fore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t colonial era. What is most noteworthy is the fact that the impressionism attempted to be grafted suitably into to the circumstances of our country. Through the self-awareness of the rediscovery of inherent sentiments in indigenous color, together with the naturalization of the impressionism, the movement to confirm the aesthetic sense inherent to the nation began to spring up. As the criticism and reflection on the Western paintings were attempted, the impressionism in Korea has been formed and specialized into discourses on indigenous materials and color by the art groups. This study analyzed the painting artworks of Oh Chi-Ho and Lee In-Sung in the aspects of indigenous materials and characteristics of color based on the impressionistic style of painting created on the ground of indigenousness of Korean modern art. Lee In-Sung and Oh Chi-Ho who had pursued Korean impressionism in the 1930s pursued indigenousness through Korean sentiments and color and materials in the course of accommodating and exploring the Western style of modern painting introduced through Japan, and attempted to naturalize them. Even though historic and social relations that the nation faced were excluded, the actualization of indigenousness by pursuing color and form with the impressionistic style of painting in the colonial era is clearly the product created by Lee In-Sung and Oh chi-Ho based on their efforts to contain the landscape and color of Joseon. So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indigenous materials and color that our own aesthetic sentiments different from the West’s and the paintings based on such sentiments undoubtedly existed.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한국 인상주의와 향토적 특성

Ⅲ. 향토적 소재와 색채 이미지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