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8020.jpg
KCI등재 학술저널

樂浪 金銀製鉸具의 제작과 성격

The study on the Gold and the Silver Buckles from Nangnang Tombs

  • 660

본고는 平壞 石岩里 9호분에서 출토된 金製鉸具를 비롯한 樂浪古墳에서 출토된 금은제교구의 성격과 의미를 여타 지역에서 출토 및 수집된 금은제교구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첫째, 금제교구 중 대표적인 유물인 평양 石岩里 9호분 출토 金製鉸具에 대한 미시적인 관찰을 통해 유물의 특징을 파악해 보았다. 金製鉸具는 워낙 미세한 金粒을 붙여 제작되었기 때문에 근접한 실물 관찰이 아니면 세부 상태나 제작기법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실물 관찰을 통해 조형 구성과 제작기법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였다. 둘째, 1990년대 이후 발표된 金製鉸具 자료인 日本 미호뮤지엄 소장품과 大連 營城子 M9호분 出土品, 雲南 羊甫頭遺蹟 採集品과, 뉴욕 개인 소장품, 그리고 미공개 자료인 貞柏里 17호분 出土 銀製鉸具를 검토대상에 추가하였다. 이를 통해 石岩里 9호분 출토품을 포함한 金銀鉸具에 대한 지견을 넓힐 수 있었다. 셋째, 中原의 工房에서 제작된 점, 邊方 지배세력에 대한 政治的 賜與品이라는 金銀製鉸具에 대한 기존의 해석을 재검토하고 대안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中原에서 제작되어 邊方 지배세력에게 賜與된 물품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였으나, 金銀製鉸具 문양적 특징이나, 馬蹄型과 嵌玉技法 등을 들어 제작지에 대한 보완적인 논증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中原 漢 왕조에서 전형적인 中原製 物品을 사여하지 않고, 북방적 성격을 지닌 모호한 성격의 물품을 왜 政治的 目的으로 賜與하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여, 金銀製鉸具의 분포를 邊郡이나 郡縣制, 屬國 등 정치적 복속과 직접 연결시키기는 어렵다는 점도 지적하였다. 변방 지역에 대해 중원의 구심력과政治的 賜與라는 관점과 동시에, 변방의 원심력과 經濟的 交易이라는 또 다른 축들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동북아시아를 포괄하는 보다 거시적 시야에서 문화적 현상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고는 향후 金銀製鉸具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한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paper will study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gold buckle of the Seogam-ri No.9 tomb, which was excavated from one of the ancient Nangnang tombs, in Pyeongyang of the Northeastem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First, micro-analysis of the gold buckle led to defining the charactelistics of this paJticular relic, the gold buckle from Seogam-ri No.9. Since this gold buckle was decorated with such fine gold granules, it is difficult to study its conditions or techniques in detail, without a close observation of the actual aJtifact. Thus, an up-close study of the actual artifact led to grasping an understanding of its moulding configuration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Second, this study’s scope includes the several gold buckles disclosed after the 1990s. This will be inclusive of the following: the buckle in the Miho Museum collection in Japan, the buckle from Dalian Yingchengzi tomb No. M9 in Laioning province of China, the buckle collected from Yangfudou in Yunnan province, the buckle in a private collection in New York, and the silver buckle including the one found in Jeongbang-ri No.17 tomb. Third, the one of the leading views on these buckles is that they were crafted by workshops in the Han royal court and then presented as political gifts to the ruling power of the peripheral regions. This prevailing view will be reconsidered for alternative possibilities within this paper. Conventional research generally accepts that these artifacts were made in the Han royal court to be later presented as gifts to the ruling powers of the peripheral regions. However, when the buckle’s pattern, horseshoe shape and gem stones embedding techniques are examined, certain questions are raised about the possible need of supplementary evidence about the actual place of making. This paper first questions why the Han Dynasty would have decided to use an item of ambiguous identity associated with strong Northern flavors instead of resorting to the more typical Han Chinese item; furthermore, this paper points out the difficulty in directly linking the location of the buckles to political subjugation, such as peripheral commandery, commandery systems or vassal states. Meanwhile, sufficient attention must be given to exploring alternative premises such as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nearby areas and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 trade. Ultimately, a cultural phenomenon should be understood from a more macro perspective that encompasses the entire East Asia. In such light, this paper has been prepared with the hope of triggering further in-depth researches on these gold and silver buckles in the future.

요약

Ⅰ. 머리말

Ⅱ. 硏究史

Ⅲ. 자료 검토

Ⅳ. 형식과 편년

Ⅴ. 제작지와 성격

Ⅵ.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