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앱북에 대한 수용자의 재매개화와 사용용이성 인식에 대한 연구

The Research on the Recognition of App-Bookʼs Re-mediation and Usersʼ of Usability

  • 284
108188.jpg

이 연구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앱북을 기존의 책에서 재매개화한 매체라고 보고, 수용자들이 재매개화되었다고 인식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스마트폰을 통해서 재매개화된 앱북을 시청하는데 있어 편리함의 정도가 어떠한지, 사용 용이성의 정도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앱북을 이용하는 수용자들은 재매개화로 인식하고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즉 수용자들은 앱북에 대해 개조와 흡수 그리고 차용의 방법으로 재매개화 되었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앱북에 대해서 수용자들이 느끼는 사용의 편리성 요인은 4개 요인으로 작동성과 학습성 그리고 편리성과 단순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매체인 책이 모바일로 재매개화된 전자책의 형태로 인지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앱북을 사용하는데 편리한다는 것은 작동하기 쉽고 학습하기 용이하며, 편리하고 단순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앱북은 기존의 책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편리함을 사용자들이 느낄 수 있도록 제조사나 앱 개발자들에게도 사용용이성의 정도가 고려되어야 하는 근거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study regards App-book as re-mediated medium based on existing book and investigates if users recognize this fact. Also, the present study tries to figure out the degree of convenience and usability which users feel when viewing App-book through smart phone. First, the results say that users using App-book recognize it as re-mediated medium. This means that users consider that App-book is re-mediated through ways of renovation, absorption, and borrowing. Second, there are four factors of convenience which users feel about app-book and the four include learnability, operation, convenience, and simplicity. This implies that book, the existing medium, is recognized as E-book, the re-mediated medium. The convenience users feel about App-book explains the learnability,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users express increases when convenience and simplicity are secured. Therefore, the present study supports that manufacturing companies orapp-inventors need to contemplate the degree of usability for uses to feel convenient about using App-book as if they use existing book.

1.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