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구어유창성과 그림설명과제를 통한 경도인지장애(MCI) 환자의 언어손상 검출

Detecting Language Deficits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rough Verbal Fluency and Picture Description Tasks

  • 1,333
108089.jpg

배경 및 목적: 치매의 조기진단 및 조기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정상고령자와 치매의 경계선상에 있는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이하 MCI)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언어장애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며, 그 결과 또한 일치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구어유창성과 그림설명과제를 통해 알츠하이머형 치매로 발전 가능성이 높은 건망형 MCI 환자들이 가지는 언어장애를 검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일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건망형 MCI 환자 23명, 경도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 (Dementia of Alzheimer’s Type: DAT) 30명, 정상고령자 20명이 참여하였다. 과제는 구어유창성과 그림설명과제를 사용하였다. 구어유창성과제는 1분간의 동물이름대기의 의미적 구어유창성과제와 /fu/, /a/, /ni/가 첫음절인 단어를 산출하는 음운적 구어유창성과제를 사용하였다. 그림 설명과제는 Boston Cookie-Theft picture를 사용하였다. 과제분석은 산출된 총음절수(total number of syllables), 총시간(total time), 초당음절수(syllables per second) 등의 산출적인 측면과 총내용어수(total number of contents words) 및 다른내용어수(number of different contents words)의 의미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결과: 1) 음운적 구어유창성과제에서는 정상 고령자, MCI, DAT 환자의 순으로 수행이 높았다. 2) 의미적 구어유창성과제에서는 정상고령자가 MCI, DAT 환자 집단의 수행보다는 높았지만 환자 집단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3) 그림설명과제의 산출적인 측면(총음절수, 총시간, 초당음절수)에서 정상고령자, MCI, DAT 환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그림설명과제의 의미적인 측면의 경우 총내용어수에서는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다른내용어수에서는 정상고령자에 비해, MCI와 DAT환자 집단의 수행이 유의하게 낮았다. 5)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구어유창성 과제와 그림설명과제의 다른내용어수의 경우 정상고령자와 MCI, DAT환자를 변별해주는 유용한 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구어유창성과 그림설명과제의 의미적인 측면의 분석(다른내용어수)을 통해 MCI 단계에서의 미세한 언어장애의 검출가능성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is an intermediate state between normal mental function and dementia, which has become increasingly well defined and is being more extensively studied. However, relatively few studies have looked at the language impairment aspects of patients with MCI, and their results have been inconsisten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semantic language deficits in patients with MCI using a picture description task. Methods: Twenty-three patients with amnestic MCI, 30 patients with mild dementia of Alzheimer’s type (DAT), and 20 elderly individuals with normal cognition (NC)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subjects were Japanese. The tasks included a one-minute verbal fluency task (semantic category: animals, phonetic category: /fu/, /a/ and /ni/) and a picture description task (the Boston Cookie-Theft picture). The picture description task was analyzed for both productivity (total number of syllables, total time and syllables per second) and semantics (total number of content words and number of different content words). Results: 1) Semantic performance on the verbal fluency task varied significantly, with the NC group scoring best, followed by the MCI group, and then the DAT group. 2) Regarding phonetic performance in verbal fluency, the NC group outperformed the MCI and DAT group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CI and DAT groups. 3)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three groups for the productivity of the picture description task. 4) In the semantic analysis of the picture description task, the NC group outperformed the MCI and DAT groups with regard to number of different content words,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MCI and DAT group.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number of content words among the groups. 5) The number of different contents words was a useful task for diagnosing MCI. Discussion &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deficits in semantic language are identifiable in individuals with MCI and can be revealed through complex tasks such as picture description. Therefore, these picture description tasks are suitable for detecting subtle language deficits in patients with MCI.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