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논문
학술저널

부모-자녀 상호작용을 활용한 집단게임놀이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Group - Game Play Therapy Using Parents - Child Interaction on the Social Skill of Low - Income Group Children

  • 이용수 972
108114.jpg

초록

본 연구는 부모-자녀 상호작용을 활용한 집단게임놀이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또래관계에 어려움이 있는 저소득총 아동 6명을 선별하여 집단게임놀이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적 기술의 질적 분석 결과, ‘함께하기’, ‘자기표현’, ‘위로하기’, ‘자기조절’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사회적 기술 검사(SSRS)에 대한 양적분석 결과, 사회적 기술점수의 모든 하위영역과 사회적 기술 전체에서 프로그램 적용 후 중재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집단게임놀이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생활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KSD검사 결과로는 아동1, 아동3, 아동4, 아동5, 아동6의 그림에서 또래관계와 상호작용이 증진되었으며, 학교 또래관계에 대한 사진, 사후 인터뷰 결과, 아동 모두에게서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집단게임놀이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실시한 양적 자료와 학교생활 변화에서도 학교생활 및 또래관계에서 사회적 기술 증진이 나타났다. 이는 부모-자녀 상호작용을 활용한 집단게임놀이치료를 통해 또래집단 안에서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함으로써 사회적 기술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지지한다.

On this study, the group game play therapy of parent-child interaction was observed to examine its effect on social skills of low income child. For the subjects above, 6 low income children with the difficulty of friendship relation and a group game play therapy was carried out. Qualitative data for examining the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is composed of recordings in all sessions of group game play therapy. In quantitative data, pre-post test was carried out in a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with Social Skill Rating System(SSRS), and non-parametric test with statistic program SPSS 12.0 was used for comparative analysis. A change in school life was examined with pre-post Kinetic School Drawing and interviews for friendship.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zing ‘together’, ‘self-expression’, ‘Consolation’, ‘self-control’ is properly expressed and advocated their desire. as a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of Social Skill Rating System(SSRS),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rough program in every social skill and its sub-area, which means that group play treatment has an impact on improving social skills of low income child. pre-post KSD results show that the interaction of friendship relation is increased in the pictures of child I, 3, 4, 5, and 6, and that the picture of child 2 represents a change not in friendship relatio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that quantitative data and changes in school life executed to support the effect of group game play therapy on social skills of low income child show the improvement of social skill in school life & friendship relation. It supports that the group game play therapy of parent-child correlation have an effect on improving social skills by experiences of affirmative interaction in peer group.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