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8246.jpg
KCI등재 학술저널

광주학생운동과 전국적 공감의 감성

Gwangju Students Movement and the Emotion of National Sympathy

  • 270

광주학생운동은 1929년 10월 말 나주역사건에서 시작되어 같은 해 11월 광주지역에서의 2차례의 학생・시민 시위를 거쳐 1930년 3월까지 전개된 일제에 저항한 민족운동이었다. 본고에서는 ‘나주역사건’과 같은 ‘우연성’이 광주학생시위와 전국단위의 광주학생운동으로 전화되는 계기를 조선 학생의 ‘피해’에 대한 조선 학생과 대중의 공분과 공감에 기반한 ‘집단적 감성’에서 비롯되었음을 살펴보았다. 여학생 희롱의 실제 있었는지에 관한 사실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1929년 말 조선인 언론매체에서 이점을 강조함으로써 대중 참여(연대) 촉매제 역할을 담당했고, 이는 ‘감성’의 물음과 연결시켰다. ‘나주역사건’과 1929년 11월을 광주학생시위와의 관련성에 관해, 일제 권력은 ‘우발성’을 강조해서 그 연속성을 차단하고자 한 반면, 광주학생시위의 주도자 및 참가자들은 이를 계기로 전국적 학생운동・민족운동으로 확산시키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광주의 희생’에 대한 공분・공감과 학생신분이라는 연대의식이란 ‘집단적 감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대중에 관한 ‘감성동원’의 사례는 첫째, 학생이라는 ‘약자’ 혹은 ‘희생자’란 이미지의 강조 둘째, 광주 학생의 ‘희생’과 관련된 풍문과 유언비어 셋째, 일제의 보도 통제에 대항한 은유의 방식으로 이를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했다. 아울러 1929년 11월의 광주학생시위 과정에서 이후 전개된 학생운동의 문제제기 및 시위 형태의 일반적 경향성 혹은 ‘패턴’이 완성되었으며, ‘광주의 희생’은 전국 단위의 광주학생운동에서 나타난 연대감의 근본적 요소였다.

During the late 1920s, the Students Movement was being developed based on the reading groups of students who were determined to study Socialism, Marxism were established in most of the middle schools. They were starting to engage in resistance movements against colonial education system which were builded by the Japanese imperial authorities. These experiences were the triggers of the Gwangju Students Movements in 1929. Moreover a massive arrest of students ensued the demonstration launched by Korean students which followed a rather fierce rumble between by Korean students and Japanese Students in November 3rd, 1929. Responding to such arrest, the students launched the Secondary Students demonstration movement on November 12th, with members of the reading groups as core personnel and under the guidance of the local youth organizations. The Gwangju Students Movements were never coincidental to expand throughout the country. It is not important that Korean girl students was sexual harassed by the Japanese male students. However, this incident caused the Emotion of Gwangju Students and National Sympathy. Both communality and public resentment took a key role of the dissemination of the Students Movements. And the students movements in the 1930s inherited the level of importance featured by the movements in the late 1920s. In the 1930s, the students were trying to reach the general population.

【국문초록】

1. 머리말

Ⅱ. ‘나주역사건’과 광주지역 학생의 ‘公憤’

Ⅲ. 광주학생시위와 학생 계층의 ‘共感’

Ⅳ. 광주학생운동과 민족적 ‘연대’의 확산

Ⅴ.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