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8246.jpg
KCI등재 학술저널

1990년대 광주에서의 현실주의 수묵화의 의미

Meaning of Realism Ink Painting in Gwangju of 1990s

  • 44

본 논문은 1980년대 시작되어 1990년대에 큰 호응을 얻었던 광주에서의 현실주의 수묵화를 수묵이라는 전통적 매재(媒材)가 갖는 현재적 의미와 이들 그림에 담긴 소재의 역사성이라는 두 층위에서 살펴본 것이다. 광주에서의 현실주의 수묵화운동은 1980년대 민중미술의 한 흐름속에서 시작되었다. 현실주의 수묵화는 동양화의 형식실험이 중심을 이루었던 60년대 수묵화운동의 한계를 딛고 수묵에 80년대 현실을 담음으로써 수묵의 내재된 힘과 주제의 역사성을 동시에 얻게 되었다. 홍성민의 <몸살>(1986)과 박문종의 <어머니>(1988) 등은 90년대 전개된 현실주의 수묵화운동의 단초를 연 작품들이다. 1990년대에 활발하게 창작되었던 광주에서의 현실주의 수묵화는 박문종, 김경주, 하성흡, 그리고 허달용 등에 의해 그려졌고 오늘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이들은 80년 5월을 직접 형상화한 작품들 뿐 아니라 이후 이어지는 일련의 역사적 사건과 그 사건의 중심에 있었던 여러 인물들을 그림으로써 당시를 증언하고 있다. 광주에서의 현실주의 수묵화는 같은 시기 민중미술의 주류를 이루었던 판화나 걸개그림이 주는 강한 선동성은 부족하지만 수묵이 주는 섬세하고 절제된 표현효과는 보는 이의 감성에 호소하는 바가 더 크다. 이러한 감성적인 수묵화는 시기적으로 80년 오월의 뜨거운 열기가 어느 정도 가라앉은 1990년대에 더 어울리는 표현수단이다. 그와 같은 감정의 절제가 있었기 때문에 강한 메시지를 담으면서도 현재까지 이어질 수 있는 생명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speculated realism ink painting in Gwangju of 1990s which began in 1980s and was very popular in 1990s in terms of the present meaning a traditional material of ink has and historical materials in the paintings. Realism ink painting in Gwangju began as a flow of Minjung art of 1980s. Overcoming limits of the ink painting movement in 1960s which focused on experiments on forms of oriental painting, it represented 1980's reality in its painting through which internal power and historical themes were achieved simultaneously. Hong Sung-min's(홍성민) <Illness(몸살)>(1986) and Park Mun-jong's(박문종) <Mother(어머니)>(1988) opened the gate to realism ink-and-wash painting movement in 1990s. Realism ink painting which was active in Gwangju of 1990s has been inherited through Park Mun-jong, Kim Gyeong-joo(김경주), Ha Seong-heup(하성흡), and Huh Dal-yong(허달용). Their paintings describe a series of historical events and main leaders as well as configurate May of 1980s. Realism ink painting of Gwangju has less instigation than prints or hanging pictures which were another main streams of popular art at the same period, but the moderated forms and colors appeal more to sensitivity of viewers. Such sensitive ink painting is a representative mean which goes with the period of 1990s when fierce heat of May of 1980s subsided somewhat. Realism ink painting has vitality with powerful messages as sensitivity was moderated as such.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민중미술 속의 수묵화

Ⅲ. 현실주의 수묵화의 전개

Ⅳ.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