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으로 규모화 되어가고 있는 유동은 이미 중국 농민가정의 변천에 있어 중요한 구조적 역량이 되었다. 유동이 가져오는 지역화 현상은 혈연과 지역관계가 고도로 밀착되어 있는 중국의 부권제 가정을 침식 후 파괴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가정제도의 변천은 전통을 해체시키는 작용을 하는 동시에 전통을 재구성하고 있다. 부권제 가정의 구조는 해체되어가는 와중에도 끊임없이 재구성되어가고 있는데 이것은 체제의 규제와 시장주도형 경제 그리고 부계부권제 자체의 요구가 삼중 요인으로 상호작용한 결과이다. 변화하는 가정의 형태는 “몸은 도시에 있으나, 뿌리는 농촌에 있다.” 라는 낮은 자본금으로도 생존해나가는 이주 농민들에게 생활의 기초를 제공할뿐만 아니라, 특유의 유연한 적응성을 통해 농촌사회의 변화로 인한 생활의 모순과의 충돌에 있어 완충제 역할을 하며 특수한 역사의 배경하에서 사회의 긴장을 해소시키는 작용이 되게 한다.
持続的かつ一定規模の流動は、中国農民家族の変遷をもたらす構造要因になっている。流動は脱地域化を促し、血縁と地縁による中国的父権制家族を浸蝕/破壊しているが、それによる家族制度の変遷は脱伝統の機能だけではなく、伝統の再構築過程でもある。父権制家族が脱構築のなかで持続され、再構築されているのは、体制による拘束、市場主導と父系父権自身の需要という三つの力の相互作用による結果である。こうした流動する家族形態は、“体が都市、根が農村”にある流動農民に、生存するための低コスト基盤を提供している。またその特有な弾力性と適応能力のゆえに、農村社会の変遷によって生じた矛盾を緩衝する地帯となり、特定の歴史条件において社会緊張を緩和させる効果を持っている。 持续规模化的流动已成为中国农民家庭变迁的重要结构性力量。流动带来的去地域化,侵蚀和破坏着血缘和地缘关系高度重合的中国父权制家庭,但其所致的家庭制度变迁不仅具有解传统作用,同时也是一个传统重构的过程。父权制家庭在解构中延续和重建,是体制约束、市场主导和父系父权自身延续的需要三重力量交互作用的结果。这一流变的家庭形态不仅为“身在城市,根在农村”的流动农民提供了低成本生存发展的基础,也以其特有的弹性适应能力,成为应对农村社会因变迁而生的矛盾冲突的缓冲带,在特定历史条件下起到了消解社会紧张的作用。
적요
1. 문제 제기
2. 이주농민가정의 현황과 전통의 해체화
3. 가정부권제 : 쇠퇴중의 재건
4. 두 이주가정을 통하여 보는 부권제 전통의 유지와 재건 방법
5. 누가 부권제 가정을 필요로 하는가?
6. 토론
일본어 번역문
중국어 번역문
(0)
(0)